|
고려를 세우는 그 일선에 호족이 있었던 것이다.
■ 참 고 문 헌 ■
金甲童, 1988, 「高麗初期 官階의 成立과 그 意義」『歷史學報』117, 歷史學會.
김갑동, 1994, 「고려 전기 정치체제의 성립과 구조」『한국사』5, 한길사.
金光洙, 1979, 「羅末麗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후기 士類層의 現實認識〉, 《창작과 비평》44, 1977.
閔賢九, 〈고려후기 권문세족의 성립〉, 《湖南文化硏究》6, 1974.
―, 〈고려사에 反映된 名分論의 性格〉, 《震檀學報》40, 1975.
朴敬子, 〈견훤의 세력과 對王建關係〉, 《淑大史論》11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를 건국할 수 있었다.
8. 맺음말
이상으로 나말여초 시대의 중요한 정치·경제·사회 세력이었던 호족이 어떤 세력이었는지에 대한 개념과, 등장 배경과 유형, 호족과 여러 세력과의 관계 등 호족세력과 나말여초의 사회변동에 대해 살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6.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후기의 사회변화
[5] 고려시대의 문화
1. 불교의 발달
2. 유학과 역사학의 발달
3. 교육기관
4. 도교와 풍수지리설
5. 과학기술
5. 근세 양반관료사회
[1] 조선전기의 정치
1. 양반관료사회의 성립과 전
|
- 페이지 95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13.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
-지방분권적 성격(허약한 중앙집권)성종때에서야 비로소 12목에 최초로 지방관 파견
-지방관이 파견된 주현보다 속현이 더 많음지방의 실제 지배자는 향리
-고구려계승: 국호는 고려, 연호는 천수
고려전기-문벌귀족사회(가문)
무신정권-
|
- 페이지 1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