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작시기 논변 -고려 고종대 창작설을 부정함
(국어국문학회편, 고려가요악장연구, 태학사, 1997) p.393~411
함으로써 <<한림별곡>>의 창작시기가 고종대 이후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첫째, 고종대 또는 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작한다.”고 전했다. 이퇴계, <도산십이곡발>,『퇴계집』43권,『한국문집총간』30, 민족문화추진회, P.468.
또한 “경기체가는 오로지 한학자(漢學者)들이 산수를 자오(自娛)하고 희락(喜樂)하는 가운데 생겨난 퇴폐적 문학일 것이다. 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림별곡’ 고찰
1. 내용
元淳文(원 1. 내용
★해석
2. 주제
3. 기존연구
4. 감상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림별곡(翰林別曲)> 작품론
1. 내용
<한림별곡(翰林別曲)>은 <고려사>악지에 속악가사의 하나로 들어있으며, <악장가사>에 전문이 실려 있고 경기체가의 효시로 꼽힌다.
작품은 모두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장은 과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994.
이명구, 『고려가요 연구』, 신아사, 1980.
장덕순, 『국문학 통론』, 신구 문화사, 1983.
조윤제, 『한국 시가의 연구』, 을유 문화사, 1984. 1. 작품 요약
2. 주제
3. 기존 연구
▶ 제작연대 - 고종대 창작설
▶ 작가
4. 감상
본문내용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