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재의 체가름 시험에서 5, 10, 15, 20, 30, 40mm 체를 이용하여 체가름을 하였다. 하지만 5~40mm 굵은 골재의 표준입도에서 실험값이 벗어난 것을 알 수 있 었다. 이유는 30mm 체와 20mm 체의 중간에 25mm 체를 넣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 하여 오차가 났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등의 정도를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중이 클수록 치밀하고 흡수량이 작으며, 내구성과 강도가 크고 충격에 의한 손실이 작다. ➀ 잔골재의 체가름 실험 결과 정리
➁ 굵은골재의 체가름 실험 결과 정리
☞ 토의 및 고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굵은 골재로 정의한다.
2)잔골재 ( fine aggreagate )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의한 KS A 5101의 규정에 따르면 10mm체를 전부 통과하고, No. 4체(5mm)를 거의 다 통과하며,No. 200체(0.08mm)에 거의 다 남는 골재 또는 No. 4 체를 다 통과하고, No. 200체에 다 남는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골재 입자 크기에 따라 다르다. 골 재의 겉보기 비중은 골재의 석질, 풍화의 정도, 골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서 정해지는 고유한 성질이며, 골재의 성질에 따라매우 달라진다.
8.고 찰
김기진- 골재의 체가름 시험에서 골재의 입도(골재 중의 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골재율
s/a
(%)
단위량(kg/m3)
물
W
시
멘
트
C
잔
골
재
S
굵은골재 G
혼화재료
16mm~
10mm
10mm~
5mm
5mm
~
2.5mm
2.5mm
이하
혼화재
팽창재
실리카흄
플라이애쉬
25
10
4-6
44
38.3
168.5
383.3
657
63.4
570.6
570.6
63.4
50.6
76.7
85
4. 실험방법 및 내용
4.1 굳지않은 콘크리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