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에 지정기탁기부제도를 확대
라. 연말 이웃돕기모금에 적극 참여한 기관, 단체,시설에게 기여도(공동모금 홍보, 모금함 설치 및 개발여부, 자원봉사자 동원 , 모금액, 노력성)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배분시 우선권을 부여
마. 각 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배분규모가 약 10배 증가되었다. 지정기탁사업의 경우 계속해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2007년 118,460백만원으로 53.1% 차지하였다. 반면에 신청사업의 경우 급격히 감소 (2000년 32.4%에서 2007년 4.5%)하였다.
6. 공동모금제도의 정의 및 기본방향
공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동모금회(2004),「한국의 기부문화와 성공적인 모금사례」,조사연구집
송혜자(2004),「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현황과 발전과제」,청주대 대학원 박사 논문
양대규(2001)「우리나라 공동모금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경희대 산업정보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8.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동모금제도의 현황과 전망.
김희수(2001). 지역 공동모금회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사회복지공동모금회(200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 효과성 평가. 조사연구집.
황지영(2002).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효율적 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공동모금회의 배분사업의 내용을 실질적으로 결정하는 배분분과위원들 중에도 배분사업의 구분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위원들이 6. 0%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배분사업의 종류별로 문제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8.08.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