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 1> 북한의 중요 공업 생산량과 목표량
연도
품목
1960
1963
1967
전력 (만kwh)
913,900
1,176,600
1,700,000
석탄 (만 t)
1,062
1,404
2,500
철광석 (t)
3,108,000
3,860,000
7,200,000
선철·粒鐵(t)
853,000
1,159,000
2,300,000
鋼 (t)
641,000
1,022,000
2,300,000
강재 (t)
474,000
762,000
1,7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5.08.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력갱생 방식의 사회주의 공업화전략은 북한의 산업기반을 세계의 흐름에서 크게 이탈시켜 기형적인 경제시스템을 결과하고 말았다.
<참고문헌>
*이종석,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서울 : 역사비평사, 2000)
*김성철 외 공저, '북한이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5.08.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과학기술의 연구개발
1. 주체화
2. 현대화
3. 과학화
4. 기초과학 진흥
5. 전자공학
6. 생물학
7. 열공학
8. 화학공업
Ⅴ. 북한 과학기술과 자력갱생론
Ⅵ. 북한 과학기술과 주체과학기술
Ⅶ. 북한 과학기술 관련 정책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력갱생과 중공업 우선정책 다시 강조(완충기의 3대 제1주의보다 중공업 우선정책을 더욱 강조, 50년대 후반의 중공업 우선과 경공업 및 농업병진정책 회귀), 자력갱생에 입각한 경제정책을 정무원 결정으로 채택(98. 3. 18 민주조선), 중소형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