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럼 첨차식 장식을 장
식 효과와 주심도리를 높이는 양식이다.
- 특징 : 장식 부재가 하나인 초익공 또는 익공과 부재를 두개 장식한 이익공이 있어 관아,
항묘, 서원, 지방의 상류 주택에 많이 사용 되었다.
- 건축물 ㆍ조선 초기 : 옥산서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조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며 온돌의 사용여부는 불분명
4. 고려시대
1) 목조건축 양식
(1) 개관
ㆍ초기에는 통일신라의 건축수법을 계승
ㆍ고려중기에 주심포양식이, 고려후기에 다포양식이 각각 발생됨
ㆍ이 두가지 공포양식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분한다.
6. 민도리계 형식의 사례 1. 공포란 무엇인가
다포계 형식
2. 다포계 형식의 발생
3. 다포계 형식의 특징
4. 다포계 형식의 사례
민도리계 형식
5. 민도리계 형식의 발생
6. 민도리계 형식의 특징
7. 민도리계 형식의 사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3.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포를 짜는 구조에 있어서 부재끼리 맞물리는 면들을 통해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이미지 출처
<그림1> <그림2> - http://blog.daum.net/sobagu/9169133
<그림3> - http://www.minsokwon.com/news/news_read.asp?no=104
숙천제아도 - 한필교
<그림4&g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붕, 겹처마 및 홑처마의 조합이 특징이다. 내부 바닥에는 전에 전돌이 깔려 있었으나 현재는 참배가 편리하도록 마루로 교체되었다.
부석사 조사당은 작은 규모의 주심포 건물로, 공포 형식과 구조에서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공포의 상하 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