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공포에 대한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 공포에 대한 조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포란 무엇인가

다포계 형식
2. 다포계 형식의 발생
3. 다포계 형식의 특징
4. 다포계 형식의 사례

민도리계 형식
5. 민도리계 형식의 발생
6. 민도리계 형식의 특징
7. 민도리계 형식의 사례

본문내용

소로의 형상은 굽이 사면으로 되고, 첨차의 하단은 둥근 모양인 교두 교두 : 살미나 첨차의 밑면 끝을 활처럼 깎아 낸 모양. 또는 그 부분.
형으로 만들었다. 살미 부분에 중첩되는 제공은 그 끝부분이 외부에서는 쇠서 쇠서 : 공포에서 보 방향으로 얹어 첨차와 직교하여 짜여지며 끝을 소의 혀 모양으로 오려낸 부재
로 처리되었다. 한대는 삼분두형으로 만들어지며, 내부에서는 첨차 하단이 둥근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초기 수법이다. 후기에는 외부의 쇠서형태가 다양화 하여지며, 내부도 장식화 되어 운공형식으로 변하게 되었다. 보머리의 형상도 주심포 식에서는 간결하게 처리하였던 것이 다포식에서는 초각이 많이 사용 되었다. 기둥 주심부에는 주두 밑에서부터 평방을 감싸고 창방 하단까지 내려오도록 내외로 기둥을 감싸고 안초공이 사용되었다.
기둥 보, 서까래 등의 주요 가구재의 가공과 구법에 있어서는 목재 원형의 생김새를 검토하여 최대한으로 그 특성을 활용하는데 주의를 기울였으며, 도구는 주로 자귀를 사용하여 치목을 하였으므로 외관이 소박하고 자연스러운 특색을 나타나게 된다.
3. 다포계 양식의 시대별 사례
고려 후기
심원사 보광전 석왕사 응진전
조선 초기
숭례문 봉정사 대웅전
조선 중기
내소사 대웅전 전등사 대웅전
조선 후기
불국사 대웅전 해인사 대적광전
4. 민도리계 형식의 발생
그 기원은 목보건축의 시작과 함께 하는데, 삼국시대 고구려의 고분벽화 중에서 기둥위에 바로 도리를 얹은 민도리집 구조를 볼 수 있다. 이후 민도리집 구조 형식은 세부적인 결구 방식에 변화가 있었으나 가장 간단한 형식의 구조로서 주택을 비롯하여 궁실과 관아, 향교, 서원 등의 부속건물 등 비교적 격식이 낮은 건물에서 흔하게 찾아 볼 수 있다.
5. 민도리계 형식의 특징
민도리형식은 가장 간단한 구조로 창방이 없다. 또 장혀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있다. 장혀가 있는 경우에는 기둥의 가살튼 곳에 장혀와 도리가 보와 십자로 짜여진다. 때로는 단장혀로 하고 보아지와 사괘로 맞춰지고 그 위에 주두를 올려 놓은 다음 주두 위에서 보와 도리가 맞춰지는 경우도 있다. 가장 간단한 구조는 주두와 장혀 없이 보와 도리가 사괘 맞춤되는 경우이다.
민도리 형식은 기둥에 보를 올릴 때 올리는 도리의 단면에 따라서 굴도리와 납도리로 나뉜다. 즉 도리를 사용함에 있어서 원통형을 사용하면 굴도리, 방형을 사용하면 납도리라고 구분한다.
6. 민도리계 형식의 사례
  • 가격4,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0.26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2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