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포계 양식의 시대별 사례
고려 후기
심원사 보광전 석왕사 응진전
조선 초기
숭례문 봉정사 대웅전
조선 중기
내소사 대웅전 전등사 대웅전
조선 후기
불국사 대웅전 해인사 대적광전
4. 민도리계 형식의 발생
그 기원은 목보건축의 시작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3.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포계와 익공 계 건물에서는 말각(抹角)방형이 쓰이며 주심포계에서는 직사각형이 쓰였다.
3)평방 : 다포계 건물에서 기둥과 공포사이에 있는 부재이다.
4)보 : 기둥사이에 걸쳐 지붕가구를 이루는데 기본이 되는 수평구조재 이다.
<보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포계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대부분 주심포계였다. 현존하는 고려시대의 주심포계 건물로는 봉정사 극락전(12세기말에서 13세기 초), 부석사 무량수전(13세기), 수덕사 대웅전(1308) 등이 있다. 이들 건축물의 건축양식을 보면 기둥은 배흘림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포계 형식의 맞배지붕이다.
3) 수덕여관
▶ 일주문을 지나 조금만 올라가면 옆에 ‘수덕여관‘이 있다. 이곳은 故이응로 화백의 고택
으로 1988년 이응로 화백이 작고하기 전까지 머물렀던 집이다. 현재는 원형을 다시
복원해 문화공간으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포계(多包系) 맞배지붕으로 3출목(三出目) 7포작(七包作)집으로 공포는 내외 삼출목(三出目)으로 쇠서[牛舌] 위에 연화(蓮華)를 조각한 조선 후기의 수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창방(昌枋) 위에 놓이는 평방(平枋)은 건물의 측면 앞쪽으로만 짧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