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풍을 썼다고 하니, 책은 절풍보다는 높은 신분의 사람들이 사용한 것이다.
책은 우리 쓰개 중에서도 민족정 특성이 강한 것으로서, 중국의 책<그림41,42>과는 달리 애초부터 독립적인 관모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고구려의 책은 중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절풍모
남자 관모에서 보았던 절풍모를 여자들도 착용하였다. 무용총 영빈도 시종 소녀의 절풍모 사진을 보았을 때 절풍모는 남녀의 구별 없이 또 신분의 차별 없이 착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은창 (2000), 「한국 복식의 역사(고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모에 있어서는 당과 같이 일률적으로 복두였다. 삼국시대 복식의 기본형 관모인 책, 절풍, 조우관 등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고, 신라에서 가장 극치를 이룬 금관과 통일 후 복두가 일률적으로 사용되었다. 복두는 중국에서 생겨난 관모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모를 보면 그 당시의 생활과 문화를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상대시대의 관모의 유형에는 책, 절풍, 조우관, 입, 건 등이 있고, 통일신라시대에는 복건, 조선시대에는 패랭이, 초립, 흑립, 백립, 망건, 유건, 정자관, 동파관, 사방관, 탕건과 와룡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23.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모인 책, 절풍, 조우관 등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신라시대의 관모로 특징적인 것은 금관과 복두가 있다.
금관은 중국의 것에 비해 금관의 영락(구술을 꿰어 만든 장식품)과 곡옥(굽은 옥)의 금색과 옥색의 조화,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움직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6.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