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건언 1994, 〈일본인의 한국사 인식〉 삼민사 Ⅰ.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사건과 식민사관
1.식민사관
2.일본역사교과서 왜곡사건
Ⅱ.임나일본부설 및 광개토대왕비
1.임나와 임나일본부설
2.관련 근거 및 비판
①일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 사학계의 "고대 남조선경영론(임나 일본부설)"이 근거를 잃게 됨
(2) 중국의 동북공정을 학술적으로 제지
2.서예사적 의의
3. 고구려의 지리적 위치의 증거
4. 당시 사회상에 대한 역사적 사료로서 중요성
4. 기타 국내 역사적 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나일본부를 임나에 파견되어진 왜의 사신들로 이해한 것이다.
Ⅷ. 결론
임나일본부설의 증거라는 일본서기, 광개토대왕비문, 칠지도, 송서, 가야지역에서 확인한 문헌과 고고학적 유물들 어디에서도 임나일본부의 확실한 증거는 없다. 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4.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나일본부를 임나에 파견되어진 왜의 사신들로 이해한 것이다.
Ⅷ. 결론
임나일본부설의 증거라는 『일본서기』, 광개토대왕비문, 칠지도, 송서, 가야지역에서 확인한 문헌과 고고학적 유물들 어디에서도 임나일본부의 확실한 증거는 없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설, 분국설, 외교사절설 등이 있었다. 각기 여러 사료들을 바탕으로 하여 내어놓은 학설이지만 문제점도 많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임나일본부설을 내세우게 되었던 사료들-광개토대왕릉비문, 일본서기, 송서 왜국전, 칠지도에 관한 내용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