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화지표는 통화량의 크기와 변동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
IMF가 새로 작성한‘통화금융통계 매뉴얼(2000)’의 권고에 따라 우리나라 통화지표 개편 작업 착수
2002년 3월, 새로운 통화지표인 협의통화(M1) 및 광의통화(M2)의 편제체계를 확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8.03.2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리나라의 통화량
(본원통화, M1, M2)
본원통화
(RB)
민간보유현금+금융기관 총지급 준비금
협의통화
(M1)
민간보유현금+은행요구불예금+은행저축예금+수시입출식예금+투신사MMF
광의통화
(M2)
M1+정기예적금 및 부금+거주자외화예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9.3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화량을 증가 시켰을 것이라 봅니다.
2007년 본원통화 미국은 8298억달러, 일본은 95조9786억엔 한국은 48조5437억원입니다.
5. 협의통화(M1) 국제간 비교
2007년 미국은 1조3860억달러, 일본은 4986조8420억엔, 한국 316억3830억원입니다.
6. 광의통화(M2)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탁형 증권저축 등을 포함한다. 다만, 유동성이 낮은 만기 2년 이상의 장기 금융상품은 제외한다.
이와 같이 광의통화(M2)에 기간물 정기예·적금 및 부금 등 단기 저축성예금 뿐만 아니라 시장형 금융상품, 실적배당형 금융상품 등을 포함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화(M1): 현금통화 + 예금통화
- 광의통화(M2): 협의통화 + 저축성예금
- 광의유동성(L): 광의통화 + 금융기관이나 정부, 기업이 발행한 채권과 금융상품
2. 중앙은행과 일반은행은 무슨 일을 하나?
(1) 중앙은행의 등장과 그 역할
화폐는 중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8.2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