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통화량(Money supply)
1.본원통화(RB)
2.협의통화(M1)
3.광의통화(M2)
1. 우리나라의 통화량 (본원통화, M1, M2)
2. 통화량과 물가와의 관계
3. 통화량과 GDP(국내총생산), GNI(국민총소득)와의 관계
4. 본원통화 국제간 비교 (한국, 미국, 일본)
5. 협의통화(M1) 국제간 비교
6. 광의통화(M2) 국제간 비교
7. GDP(국내총생산) 국제간 비교
1.본원통화(RB)
2.협의통화(M1)
3.광의통화(M2)
1. 우리나라의 통화량 (본원통화, M1, M2)
2. 통화량과 물가와의 관계
3. 통화량과 GDP(국내총생산), GNI(국민총소득)와의 관계
4. 본원통화 국제간 비교 (한국, 미국, 일본)
5. 협의통화(M1) 국제간 비교
6. 광의통화(M2) 국제간 비교
7. GDP(국내총생산) 국제간 비교
본문내용
유는 경기가 부진했기 때문입니다.)
그 후에도 화폐발행잔액 증가율이 각각 4.2%와 2.8%라는 비교적 낮은 실적을 기록했던 2003년과 2004년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각각 3.5%와 3.6%를 기록함으로써 다른 연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았던 반면에, 화폐발행증가율이 각각 4.4%와 6.8%를 기록함으로써 그 이전 연도보다 약간이나마 더 높았던 2005년과 2006년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각각 2.8%와 2.2%를 기록함으로써 비교적 안정적이었습니다.
3. 통화량과 GDP(국내총생산), GNI(국민총소득)와의 관계
통계표
경제활동별 GDP 및 GNI(실질, 분기 및 연간)
항목명1
국내총소득
국민총소득
단위
십억원
십억원
1989
312,951.4
312,254.7
1990
340,355.2
340,113.8
1991
373,990.9
373,415.4
1992
395,736
395,091.2
1993
420,671.2
419,809.9
1994
459,408.7
458,232.8
1995
503,319.4
501,579.1
1996
531,782.3
529,706.7
1997
547,133.3
544,131.5
1998
507,504.3
499,004
1999
552,461.2
545,970.1
2000
578,664.5
576,160
2001
593,460.9
592,408.5
2002
633,126.5
633,842.1
2003
645,144.9
645,787.6
2004
669,523.9
671,037.7
2005
676,689.1
675,658.7
2006
692,443.7
693,342.6
2007
719,662.6
720,704.8
2008
704,489
통화공급이 증가 -> 이자율하락 -> 소득증가
통화공급이 감소 -> 이자율상승 -> 소득감소
4. 본원통화 국제간 비교 (한국, 미국, 일본)
전체적으로 본원통화량은 계속 상승하는 추세지만 그래프에 보면 한국, 미국, 일본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뾰족하게 산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1998년 당시 한국은 IMF외환위기에 직면해 있었고, 아시아의 경제위기로 수출이 감소되는 시기로 물가상승과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통화량을 증가 시켰을 것이라 봅니다.
2007년 본원통화 미국은 8298억달러, 일본은 95조9786억엔 한국은 48조5437억원입니다.
5. 협의통화(M1) 국제간 비교
2007년 미국은 1조3860억달러, 일본은 4986조8420억엔, 한국 316억3830억원입니다.
6. 광의통화(M2) 국제간 비교
M2는 한국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07년 미국은 7조4661억달러 일본은 1045조1751억엔, 한국 1273조6119억원입니다.
7. GDP(국내총생산) 국제간 비교
그래프를 보면 미국이 급속히 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1970년 81억달러로 시작해 1998년 IMF외환위기때 주춤한것을 제외하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일본이 골짜기가 많은데 일본은 1982년 약 1조800억달러부터 시작해 1995년까지 꾸준히 증가했지만, 1995년부터 1998년까지 하락했습니다. 이는 1995년 1월의 한신이와지 대지진, 1997년 소비세율의 인상이나 특별 감세의 종료등에 의한 국민 부담증가, 또 아시아 통화 경제혼란, 위기의 영향등에서 수출이 감소로 변한 것 등이 주된 요인입니다.
최근 2008년 세계 GDP 순위로는 1위로 미국이 14조3300억달러, 2위로는 일본이 4조 8440억달러이고, 한국은 9535억달러로 떨어져 15위에 있습니다.
그 후에도 화폐발행잔액 증가율이 각각 4.2%와 2.8%라는 비교적 낮은 실적을 기록했던 2003년과 2004년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각각 3.5%와 3.6%를 기록함으로써 다른 연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았던 반면에, 화폐발행증가율이 각각 4.4%와 6.8%를 기록함으로써 그 이전 연도보다 약간이나마 더 높았던 2005년과 2006년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각각 2.8%와 2.2%를 기록함으로써 비교적 안정적이었습니다.
3. 통화량과 GDP(국내총생산), GNI(국민총소득)와의 관계
통계표
경제활동별 GDP 및 GNI(실질, 분기 및 연간)
항목명1
국내총소득
국민총소득
단위
십억원
십억원
1989
312,951.4
312,254.7
1990
340,355.2
340,113.8
1991
373,990.9
373,415.4
1992
395,736
395,091.2
1993
420,671.2
419,809.9
1994
459,408.7
458,232.8
1995
503,319.4
501,579.1
1996
531,782.3
529,706.7
1997
547,133.3
544,131.5
1998
507,504.3
499,004
1999
552,461.2
545,970.1
2000
578,664.5
576,160
2001
593,460.9
592,408.5
2002
633,126.5
633,842.1
2003
645,144.9
645,787.6
2004
669,523.9
671,037.7
2005
676,689.1
675,658.7
2006
692,443.7
693,342.6
2007
719,662.6
720,704.8
2008
704,489
통화공급이 증가 -> 이자율하락 -> 소득증가
통화공급이 감소 -> 이자율상승 -> 소득감소
4. 본원통화 국제간 비교 (한국, 미국, 일본)
전체적으로 본원통화량은 계속 상승하는 추세지만 그래프에 보면 한국, 미국, 일본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뾰족하게 산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1998년 당시 한국은 IMF외환위기에 직면해 있었고, 아시아의 경제위기로 수출이 감소되는 시기로 물가상승과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통화량을 증가 시켰을 것이라 봅니다.
2007년 본원통화 미국은 8298억달러, 일본은 95조9786억엔 한국은 48조5437억원입니다.
5. 협의통화(M1) 국제간 비교
2007년 미국은 1조3860억달러, 일본은 4986조8420억엔, 한국 316억3830억원입니다.
6. 광의통화(M2) 국제간 비교
M2는 한국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07년 미국은 7조4661억달러 일본은 1045조1751억엔, 한국 1273조6119억원입니다.
7. GDP(국내총생산) 국제간 비교
그래프를 보면 미국이 급속히 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1970년 81억달러로 시작해 1998년 IMF외환위기때 주춤한것을 제외하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일본이 골짜기가 많은데 일본은 1982년 약 1조800억달러부터 시작해 1995년까지 꾸준히 증가했지만, 1995년부터 1998년까지 하락했습니다. 이는 1995년 1월의 한신이와지 대지진, 1997년 소비세율의 인상이나 특별 감세의 종료등에 의한 국민 부담증가, 또 아시아 통화 경제혼란, 위기의 영향등에서 수출이 감소로 변한 것 등이 주된 요인입니다.
최근 2008년 세계 GDP 순위로는 1위로 미국이 14조3300억달러, 2위로는 일본이 4조 8440억달러이고, 한국은 9535억달러로 떨어져 15위에 있습니다.
추천자료
국제통화제도
20세기 국제통화의 정치경제
국제금융(IMF)과 국제정세 - 국 제 통 화 기 금(IMF)과 금 융 위 기
[통화정책]우리나라에서의 정보변수 활용과 인플레이션간의 관계분석
[지표][사회지표][정책지표][통화지표][정보화지표][환경지표][사회][정책][통화][정보화][환...
[경제,경영] 국제통화기금 [國際通貨基金, International Monetary Fund]
국제통화제도의 역사적인 비평과 새로운 방향
[엔화][엔화의 국제화][엔화의 환율변동과정][엔화의 약세][엔화의 강세][엔화의 최적통화지...
국제통화제도를_역사적으로_비평하고_새로운_방향을_제시하라
국제통화제도를 역사적으로 비판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라
[국제금융론] 국제통화제도에 대해서
[국제][국제통상][국제경제][국제통화][국제비교][국제수지][국제금융기관][국제신용등급]국...
[국제금융론] 국제 금융제도, 국제통화제도의 역사적 비평
브레튼우즈 체제와 IMF의 역활 (국제 통화제도의 의의와 목적 및 기능, 변천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