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초의 교육과정이론이라고 부를 수 있는 형식도야이론에서 출발했다. 형식도야이론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여러 가지 활동들이 빚어져 나오는 최초의 원천으로서의 마음 또는 정신능력에 관심을 두고 교과가 그것을 연마하는 수단으로 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1.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두고 교과의 가치(의미,관)을 정립해야 한다.
참고문헌
이홍우, 형식도야이론의 매력과 함정, 교육이론(서울대 교육학연구회, 제4권 1호), 1989. 12.
이용남,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육과학사, 1990).
이칭찬, 새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동문사, 1999).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론에서처럼 형식과 내용을 분리시키고 내용과는 무관하게 일반적 능력(형식)을 개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분명히 잘못이다. 하지만 그 세부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더라도 가장 일반적인 수준에서 형식도야 이론은, 교육은 마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자가 교과만을 잘 암기한다고 공부하여 행동의 변화 또는 마음의 변화를 스스로 일으킬 수 없기 때문이라고 본다. 안다는 것과 실천하고 변화한다는 것은 다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형식도야이론은 교육이론으로서 큰 결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과정』 배영사 Jeome S.Bruner. 이홍우 역(1990)
박재문( 19 98 ) , 형식도야이론 , 교육학대사전 , 하우동설 .
유한구( 19 99 ) , 열린교육과 여는교육 , 이홍우·이환기·김광민 (편) (2 00 0 ) ,
마음과 교과 , 성경재.
이홍우( 19 92 ) , 증보 교육과정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