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는글
Ⅱ. 형식도야 이론이란
A. 형식도야란
B. 형식도야이론의 기초인 능력 심리학
C.형식도야이론의 요약
1.기본가정
2.교육의 목적
3.교육의 방법
4.형식도야 교육의 사례
5.형식도야 교육의 장단점
6.형식도야 이론 비판의 표적이 된 부분
Ⅲ. 형식도야 이론의 비판
A.여러 학자의 비판
1. 존 듀이
2. 허스트
3. 윌리엄 제임스 - 전이실험 (심리학 측면의 비판)
4. 쏜다이크 - 전이실험 계속
B. 비판적으로 논하라
Ⅱ. 형식도야 이론이란
A. 형식도야란
B. 형식도야이론의 기초인 능력 심리학
C.형식도야이론의 요약
1.기본가정
2.교육의 목적
3.교육의 방법
4.형식도야 교육의 사례
5.형식도야 교육의 장단점
6.형식도야 이론 비판의 표적이 된 부분
Ⅲ. 형식도야 이론의 비판
A.여러 학자의 비판
1. 존 듀이
2. 허스트
3. 윌리엄 제임스 - 전이실험 (심리학 측면의 비판)
4. 쏜다이크 - 전이실험 계속
B. 비판적으로 논하라
본문내용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뛰어난 교과는 없으며, 단지 동일한 요소가 있을 때 전이가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밝히으로서 기억훈련을 하고 난 뒤에는 더 쉽게 기억할 수 있어야 한다는 능력심리학의 주장이 그릇되었다는 것을 보여줌
4. 쏜다이크 - 전이실험 계속
-추론
만약 형식도야이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교과를 반복적으로 연습한 결과로 정신능력이 개발되고 향상된다면, 형식도야이론에서 주요시되는 교과와 그렇지 않는 교과 사이에 이 면에서 차이가 있엉야 할 것이다.
-결과
교과의 차이가 지력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아주 근소했음 그러므로 특정한 교과가 사고를 잘 하도록 하는 것은 아님
→ 교과의 가치를 형식(일반적인 능력)에서 찾는 것은 그릇됨
→ 동일 요소설 - 전이는 내용이나 절차에 있어서 양쪽에 동일한 요소들이 있을 때 일어 난다..
B. 비판적으로 논하라
여러 문헌에서 형식도야이론이 왜 비판받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지만 정작 형식도야이론을 다른 이론처럼 일목요연하게 설명한 문헌은 찾기가 힘들었다. 서두에서 본 내용처럼 '죽이기 위해서 만들어 낸 이론'이란 말이 이해가 된다.
어째든 형식도야이론이 이렇게 오랜 세월동안 유지 되어온 것은 그 이론 속에는 오늘날까지도 의미 있는 것이 있다는 것이라고 본다. 실제로 이 이론을 비판한 학자들도 이 이론의 일부를 인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보면 말이다. 즉 듀이의 이론 중 마음을 기성의 형태로 주어진 것으로 보건 교육을 통하여 획득되는 것으로 보건간에, 교과의 의미를 마음과 관련하여 설명하면서 그 마음을 개인이 그 내부 어디인가(즉, [마음 속])에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이론은 어떤 형태로든지 형식도야 이론을 받아들인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허스트와 같이, 수학을 통하여 학생들은 수학적 사고방식[합리적 마음의 한 양식]을 획득하게 된다고 말하는 것과, 형식도야 이론에서와 같이, 수학은 추리력이라는 [부소능력]을 개발해 준다고 말하는 것 사이에는, 허스트가 말하는 수학적 사고방식이라는 것이 개인의 마음 속 어디인가에 들어 있는 것을 가리키는 한, 그다지 심각한 차이가 있는 것 같지 않다. 형식도야 이론이 여러 차례, 여러 학자에 의하여 거의 치명적인 비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타당한 면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것은 아마 이 때문일 것이다
또한 많은 교사의 경험상 제임스나 쏜다이크의 실험에서 전이가 부정되었지만 경험상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국어나 수학등 주지교과를 잘 하는 학생들이 타교과목도 잘하는 것을 볼 때 이 이론이 완전히 잘못된 이론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또 한편으로는 수학적 계산능력과 문학적 어휘능력은 좀 다른 지적 영역이므로 훈련의 방법이 달라야 한 것 같다는 점에서 비판의 소지도 있다는 쪽으로 기울기도 한다 또한 현대 과학의 발달로 뇌의 각 부분이 담당하는 정신능력이 다른 것이 증명된 상태에서 한 교과를 잘 교육하면 모든 정신능력이 훈련된다는 이론도 의심의 여지는 있는 것 같다.
이런 사실을 제쳐두고라도 정말 모든 정신능력을 훈련시키는 교과과 존재한다면 형식도야이론이 주창 된 중세말 이후 교육학이나 과학, 심리학, 생리학등이 눈 부시게 발달한 현대까지도 우리가 배워야 할 교과는 늘어만 가는지도 의심스럽다. 그것은 우리가 어떤 교과를 가르치는 것은 지적 능력만 키워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 교과에 들어 있는 내용(행동이나 생각을 변화를 의도하는 것)을 전해주어 피교육자로 하여금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면 지적 능력만 키워준다고 피교육자가 교과만을 잘 암기한다고 공부하여 행동의 변화 또는 마음의 변화를 스스로 일으킬 수 없기 때문이라고 본다. 안다는 것과 실천하고 변화한다는 것은 다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형식도야이론은 교육이론으로서 큰 결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형식도야이론은 오늘날까지 교과의 의미를 설명하는데 가장 널리 가장 오래 사용되고 있는 이론이라는 점에서 앞으로 형식도야이론에의 형식의 중요성에 내용의 중요성을 접목한다면 불멸의 부활을 꿈 꿀 수 있지 않을까?
▶▶ 참고문헌 ◀◀
1. 김종서외 3인, 2002,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이홍우외 2인, 1990, 현대교육과정론, 교육출판사
3.이홍우, 1989, 형식도야이론의 魅力과 陷穽,서울대학교 교유학 연구회 논문집
4.http://learning.snu,ac.kr/koredu/koredu/cur-in.htm
(서울대학교 교육과 홈페이지)
4. 쏜다이크 - 전이실험 계속
-추론
만약 형식도야이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교과를 반복적으로 연습한 결과로 정신능력이 개발되고 향상된다면, 형식도야이론에서 주요시되는 교과와 그렇지 않는 교과 사이에 이 면에서 차이가 있엉야 할 것이다.
-결과
교과의 차이가 지력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아주 근소했음 그러므로 특정한 교과가 사고를 잘 하도록 하는 것은 아님
→ 교과의 가치를 형식(일반적인 능력)에서 찾는 것은 그릇됨
→ 동일 요소설 - 전이는 내용이나 절차에 있어서 양쪽에 동일한 요소들이 있을 때 일어 난다..
B. 비판적으로 논하라
여러 문헌에서 형식도야이론이 왜 비판받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지만 정작 형식도야이론을 다른 이론처럼 일목요연하게 설명한 문헌은 찾기가 힘들었다. 서두에서 본 내용처럼 '죽이기 위해서 만들어 낸 이론'이란 말이 이해가 된다.
어째든 형식도야이론이 이렇게 오랜 세월동안 유지 되어온 것은 그 이론 속에는 오늘날까지도 의미 있는 것이 있다는 것이라고 본다. 실제로 이 이론을 비판한 학자들도 이 이론의 일부를 인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보면 말이다. 즉 듀이의 이론 중 마음을 기성의 형태로 주어진 것으로 보건 교육을 통하여 획득되는 것으로 보건간에, 교과의 의미를 마음과 관련하여 설명하면서 그 마음을 개인이 그 내부 어디인가(즉, [마음 속])에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이론은 어떤 형태로든지 형식도야 이론을 받아들인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허스트와 같이, 수학을 통하여 학생들은 수학적 사고방식[합리적 마음의 한 양식]을 획득하게 된다고 말하는 것과, 형식도야 이론에서와 같이, 수학은 추리력이라는 [부소능력]을 개발해 준다고 말하는 것 사이에는, 허스트가 말하는 수학적 사고방식이라는 것이 개인의 마음 속 어디인가에 들어 있는 것을 가리키는 한, 그다지 심각한 차이가 있는 것 같지 않다. 형식도야 이론이 여러 차례, 여러 학자에 의하여 거의 치명적인 비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타당한 면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것은 아마 이 때문일 것이다
또한 많은 교사의 경험상 제임스나 쏜다이크의 실험에서 전이가 부정되었지만 경험상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국어나 수학등 주지교과를 잘 하는 학생들이 타교과목도 잘하는 것을 볼 때 이 이론이 완전히 잘못된 이론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또 한편으로는 수학적 계산능력과 문학적 어휘능력은 좀 다른 지적 영역이므로 훈련의 방법이 달라야 한 것 같다는 점에서 비판의 소지도 있다는 쪽으로 기울기도 한다 또한 현대 과학의 발달로 뇌의 각 부분이 담당하는 정신능력이 다른 것이 증명된 상태에서 한 교과를 잘 교육하면 모든 정신능력이 훈련된다는 이론도 의심의 여지는 있는 것 같다.
이런 사실을 제쳐두고라도 정말 모든 정신능력을 훈련시키는 교과과 존재한다면 형식도야이론이 주창 된 중세말 이후 교육학이나 과학, 심리학, 생리학등이 눈 부시게 발달한 현대까지도 우리가 배워야 할 교과는 늘어만 가는지도 의심스럽다. 그것은 우리가 어떤 교과를 가르치는 것은 지적 능력만 키워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 교과에 들어 있는 내용(행동이나 생각을 변화를 의도하는 것)을 전해주어 피교육자로 하여금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면 지적 능력만 키워준다고 피교육자가 교과만을 잘 암기한다고 공부하여 행동의 변화 또는 마음의 변화를 스스로 일으킬 수 없기 때문이라고 본다. 안다는 것과 실천하고 변화한다는 것은 다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형식도야이론은 교육이론으로서 큰 결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형식도야이론은 오늘날까지 교과의 의미를 설명하는데 가장 널리 가장 오래 사용되고 있는 이론이라는 점에서 앞으로 형식도야이론에의 형식의 중요성에 내용의 중요성을 접목한다면 불멸의 부활을 꿈 꿀 수 있지 않을까?
▶▶ 참고문헌 ◀◀
1. 김종서외 3인, 2002,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이홍우외 2인, 1990, 현대교육과정론, 교육출판사
3.이홍우, 1989, 형식도야이론의 魅力과 陷穽,서울대학교 교유학 연구회 논문집
4.http://learning.snu,ac.kr/koredu/koredu/cur-in.htm
(서울대학교 교육과 홈페이지)
키워드
추천자료
도덕성 발달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정신분석 이론, 행동주의 이론, 인지주의 이론)
[인본주의 심리학][매슬로우][Maslow][인간 욕구계층 이론][욕구5단계설]인본주의 심리학과 ...
[인간발달][인간발달 영역][인간발달 과업][인간발달 연구 심리학자][인간발달심리학이론]인...
성격심리이론정리 - 행동주의적, 인지주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융...
교육심리학의 개념과 발달의 의미 및 발달이론-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프로이드의 성격발달...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 설명하...
[교육심리학공통] 가드너의 중다지능이론과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
보육 과정의 발달심리학 기초에서 상호작용주의 이론 중 피아제, 비고츠키의 이론을 비교 설...
이제껏 배운 심리학 이론과 관련된 최근의 사례(뉴스기사)를 찾아 그 심리학적 이론으로 사례...
[상담심리학 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 ...
교육심리학 -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 다중지능이론의 시사점, 에릭슨(Erikson)의 ...
[교육심리학 공통]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에릭슨의 성격발달8단계설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