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음조화)의 規則(규칙)에 따라 어간의 끝이 陽性母音(양성모음)이면 \' -아, -오\' 계의 어미가 쓰이고, 陰性母音(음성모음)이면 \'-어, -우\' 계의 어미가 쓰이는 것이 規則活用(규칙활용)이다. 이와 같은 基本(기본) 形態(형태)에서 달라지는 것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9.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ㅓ’를 표사하기 위하여 사용된 중요한 한자들을 들면 다음과 같다.
거 格, 더 得, 머 黑이들은 몽고자운에서는 모두 佳韻에 속하는 것인데, 그 음은 매우 정의하기 어려울 듯하다.
Ⅲ. 국어 모음의 모음조화
현대국어의 모음조화는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상이 되어 온 것으로, /ㆍ/의 음가 추정 및 소실 시기, 소실의 방향, 소실의 원인, 모음 조화와의 관계 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ㆍ/ 소실의 근본적인 원인을 국어사의 어느 시기에 있었던 모음의 대대적인 ‘추이’로 상정한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어미의 분류,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서술어미, 국어 종결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어미의 오용 사례 분석
Ⅰ. 국어 어미의 분류
Ⅱ.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Ⅲ. 국어 서술어미
Ⅳ. 국어 종결어미
Ⅴ. 국어 연결어미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는 없다.
② t 계열 ( / h+t / [th ] )
많 +다 : / manh+ ta / [mantha]
좋 +다 : / oh+ ta / [otha]
③ k 계열( / h+ k / [kh] )
끊+고 : / knh+ ko / [knkho]
넣+고 : / nh+ ko / [nkho ]
④ 계열( / h+ / [ ] )
쌓 +지 : / s\'ah+i / [s\'ai]
+지 : / silh+i / [sili]
않 +지 :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