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 품사 접두사의 기준
형태소가 단어를 형성할 때 어떠한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어기와 접사로 나눌 수 있다. 어기는 단어의 중심부를 담당하는 형태소이며, 접사는 그 주변부를 형성하는 형태소다. 접사와 어기의 근본적인 차이는 형태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첨가 해주는 접사 예>맨+손(명사→명사)-어근의 뜻을 한정
분포┌접두사: 어근 앞에 붙는 접사 예>덧+버선
└접미사: 어근 뒤에 붙는 접사 예>덮+개
<3>파생어
1>접두사에 대한 문제점(접두파생어)
①국어의 접두사는 어근의 품사를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생 부사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Ⅲ. 결 론
접사는 어기에 결합하여 뜻을 더하여 주는 한정적 접사와 통사 범주를 바꾸는 지배적 접사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접사는 어기에 붙는 위치에 따라 접두사와 접미사로 분류한다.
국어의 접두사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생어
(2)합성어
2. 품사
1.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1)명사
(2)대명사
(3)수사
2.관계언: 조사 ⑴격조사
⑵접속조사
⑶보조사
3.용언: 동사, 형용사 ⑴동사, 형용사
⑵보조용언
(3)용언의 활용
4.수식언: 관형사, 부사
5. 독립언: 감탄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접두사 어근 접미사 선어말어미 어말어미
어간 어미
2) 어떤 형식 X에 접사가 결합할 때, X를 \'어기(base)\'라고 부르기도 한다.
3. 파생법
가. 접두사에 의한 파생
중세국어에서도 현대국어와 같이 접두사에 의한 파생은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일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