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사령부 // 미8군사령부 // 유엔군사령부 // 한미연합군사령부
2. 주한미군의 병력
3. 한미연합군사령부(한미연합사)
- 지상구성군 // 공군구성군 // 해군구성군
- ‘한미군사위원회’ 1. 정전체제
1) 정전체제의 성립과 변화
2) 군사정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사정전위원회를 대신할 미-북공동군사기구 설치, 이러한 문제를 토의하기 위한 해당급 협상진행 등을 제의했다.
잠정협정에는 구체적으로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의 관리, 무장충돌과 돌발사건 발생시 해결방도, 군사공동기구의 구성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건 ·회전당구사건)의 수사경위를 발표, 유원식(柳原植) 등 15명의 관련자를 구속 ·송치하였다. 그러나 모두 무죄로 풀려나 의혹을 남겼다.
② 이수근(李穗根) 위장귀순:1967년 3월 22일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를 취재하던 북한의 중앙통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3.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에 한국군 장성이 임명(1991. 3)되었고, 그리고 19년에 와서는 한국군 평시작전통제권 환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그리고 현재 전시작전통수권 환수문제가 양국간에 쟁점이 되고 있다. 이 모두 한국내 정치사회적 분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5.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사정전위원회 제1차 본회의 개최
7월 30일
美8군사령부, 전전선의 유엔군은 30일 21시까지 비무장지대 철수완료 발표
3. 북의 남한 점령정책
1) 점령 시기 구분
한국전쟁을 4개의 시기로 구분하면 제 1기는 1950년 6월 25일 전쟁의 발발로부터 9월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