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70건

왕의 시무복 – 곤룡포 곤룡포는 용포라고도 불리는데 임금이 시무복으로 입던 정복이다. 두루마기와 같은 모양의 웃옷인 곤룡포는 노란 색, 또는 붉은색 비단으로 지었고, 황색 단이나 사에 붉은색 안을 넣었으며, 가슴 •등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1.0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었다. ⑫ 조정의 대신 - 붉은 옷 : 정 3품 당상관(왕과 같이 정치의 중대사 논의하는 대신) 이상 - 푸른 옷 : 종 3품에서 6품까지 - 초록색 옷 : 7품부터 9품까지 드라마 이산 의상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드라마 이산 의상 정조(이산) 통찰력, 영특, 외유내강 힘 있고, 세련되고 깔끔한 의상 평상복, 용포(곤룡포), 무예복 정조(이산) 영조 정순왕후(계비) 효의왕후(빈궁) 혜경궁홍씨 화완옹주 도화서 다모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1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궁중의상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소박하고 단조로운 장식품을 사용, 가능한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겸손함을 보이고자 했다. 실제 귀걸이, 문양, 핸드백, 팔찌 등의 장식품은 주로 특수계층에서만 사용되었던 것으로써 옛날 서민층 동양인들에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7.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았다. 赤古里(唐赤古里)는 草綠鄕織으로 제작하였으며 안감으로는 大紅水紬로 하였다. 單赤古里는 紫的鄕織으로 하였고 衫兒는 백초로 하였다. 大 赤 는 大紅鄕織으로 하였고 안감도 大紅色 비단으로 하였으며 금박은 2단에 걸쳐 장식하였다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논문 1건

궁중무용의 변천과 전승에 관한 문화지형 독법」,『한국전통무용의 변천과 전승』, 2005, 보고사. 김매자, 『한국의 춤』, 2003, 대원사.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과 여악 연구』, 2001, 민속원. 송준영 김미숙 전미령 , 『무용의 이해』, 1999,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발행일 2010.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