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리행위를 하였을 경우에는 본조의 적용을 배제할 것이라는 이설이 있다.
b. 공동대리
공동대리의 경우는 각 대리인에 대해서는 대리권을 제한한 것이므로 그 1인이 대리행위를 한 때에는 대리권한을 벗어난 것으로 본조의 적용을 받는다.
c.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08.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리 취지에 더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結 論
본 사안의 경우에 있어서 乙은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를 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표현대리의 법리에 따라 수권행위를 믿을 만한 근거를 갖고 있는 丙은 정당한 이유가 있으며, 선의·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리권한설을 따른다면 무권대리로서 무효라는 점을 명백히 하여야 한다).
2) 사용자의 책임문제
한편 병은 을의 피용자이므로 갑이 을을 상대로 사용자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병의 행위는 외형상 사무집행의 범위 내로 보이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8.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리론”의 제문제, 박영사, 1986
구연창, “표현대리와 민법 제 130조-135조” 고시계(87. 3) I. 서 론
II. 본 론
1. 표현대리의 의의
2. 표현대리의 유형
3. 표현대리의 요건
4. 무권대리
5.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
6. 표현대리 사례분석
III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07.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권한을 자기의 책임 하에 행사한다. 그러나 피대리관청은 대리관청의 선임·감독·지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한다.
6) 종 료
대리권을 발생하게 한 법률사실의 소멸에 따라 대리권은 종료된다.
7) 복대리의 가능성
법정대리는 두 관청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