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放尿 取生薑 擦其齒 卽放尿(綱目).
만약 고양이가 소변을 보지 않으면 생강을 취하여 이빨을 문지르면 곧 소변을 본다.(의학강목)
麝香 :
사향
治氣閉耳聾 眞麝香爲末 以管 吹入耳內 後將 塞耳內 耳自明(回春).
사향은 기가 막아서 이롱이 됨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耳이목수양기지총명
이자신지규
맥법
이명
궁지산 궁귀음 가감용회환 침사주 통명이기탕 복총탕 보신환 황기환 대보환 자신통이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귀병과 같은 해부학적 위치, 또는 장부나 경락, 기혈 등의 해부생리학적인 계통, 혹은 치료의 대상에 따라 소아과, 산부인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병의 원인으로 풍(風)이 강조되는 점이 두드러지거나 책에 따라 주술적인 부분이 일부 포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귀병이나 축농증 등의 병으로 학교를 자주 빠지거나 병원을 가는 아동
·학습장애, 정서장애, 정신지체 특성을 보이는 아동
·이들 중 때로는 청력의 문제로 학습이 부진하거나 불안한 학생이 되었는데 이를 간 파하지 못하고 정신지체, 정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귀병과 같은 해부학적 위치, 또는 장부나 경락, 기혈 등의 해부생리학적인 계통, 혹은 치료의 대상에 따라 소아과, 산부인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병의 원인으로 풍(風)이 강조되는 점이 두드러지거나 책에 따라 주술적인 부분이 일부 포함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