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크리트의 균열제어 및 품질관리
단위수량이 적고 슬럼프 값이 작은 콘크리트는
건조수축량이 적고
수축균열도 억제 가능하다.
그러나, 두께 150mm의 벽에 단위수량이 적고
슬럼프값이 작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결과
수년이 경과
|
- 페이지 80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5.12.0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균열폭은 0.1mm임
* 균열폭 계산
근사식으로 R=1.2(보의 경우)혹은 R=1.35(슬래브)를 사용해도 좋다.
콘크리트의 인장력이 설계인장강도의 60%보다 작은 경우 휨균열은 검토하지 않아도 좋다.
(2) ACI Code 규정
간접적 균열제어방법 즉 보 또는 1방향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화열 온도관리: 양생기간 단축 및 균열제어 방안 적용
▷시공관련 관리: 기타 콘크리트 타설에 관한 제반 관리방안 수립
일정한 품질 유지를 위해 최근에는 고유동 콘크리트(무다짐 콘크리트)를 적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Tower Palace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1.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근의 위치 확보
(3) 상면과 중간보의 종철근
- 포스트텐션 보: PS 강재의 긴장전에 발생할지 모르는 수축균열 억제
- 부분 PSC 보: 균열제어
(4) 하면 종철근
휨균열을 제한하고 처짐을 조절하는 것을 도우며 극한 휨강도를 증가시킨다.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균열, 내구성을 고려한 콘크리트배합 미흡
- 골재분리방지, 충전성 향상 및 치밀한 표면을 얻기 위한 적정 잔골재율 고려 미흡
- 충전성 및 균열제어, 내동해성을 고려한 단위수량 저감 및 적정 유동성 확보 미흡
- 구조 및 내구성을 고려한 압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