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
① 절건상태 : 절대건조상태로 110℃ 정도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킨 상태
② 기건상태 :공기 중 건조상태로 실내에 방치한 경우 골재 입자의 표면과 내부의 일부가 건조된 상태.
③ 표건상태 : 표면건조 내부 포수상태로 골재 표면에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로부터 표건상태로 되기까지 골재 내부에 흡수할 수 있 는 수량을 골재의 흡수량이라 하고, 기건상태로부터 표건상태로 되 기까지 흡수할 수 있는 수량을 유효흡수량이라한다.
(c) 골재의 표면수량 - 골재 푠면에 묻어 있는 수량을 표면수량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의 밀도를 말한다. 그래서 골재의 함수상태에 의해 밀도의 값이 바뀐다. 그림1은 골재의 함수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수분을 전혀 갖고 있지 않은 절건상태에서부터 기건상태, 표건상태, 습윤상태의 차례로 함수량이 많은 상태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c) 골재의 흡수량 - 절건상태로부터 표건상태로 되기까지 골재 내부에 흡수할 수 있 는 수량을 골재의 흡수량이라 하고, 기건상태로부터 표건상태로 되기까지 흡수할 수 있는 수량을 유효흡수량이라한다.
d) 골재의 표면수량 - 골재 푠면에 묻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건상태로 건조시킨 후 충분히 혼합한다.
(2) 용기에 시료를 채울 때 대소립(大小粒)의 입도분리가 되지 않도록 한다.
(3) 동일시료에 대해서 같은 방법으로 행한 시험오차는 1% 이내여야 한다. 시험은 2회 이상 실시한다.
【6】참 고 사 항
(1)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