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억 장소를 나타낸다.
(2) 배열의 선언 : 배열은 사용하기에 앞서 반드시 DIM명령으로 선언되어야
한다.
(3) 형식 : 줄 번호 DIM 배열명(첨자)
10 DIM A(5)
배열의 이름↙ ↘ 배열의 크기
5. 배열의 종류와 기억 장소
(1) 배열의 종류 : 사용하는 첨자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DIM A(3)20 FOR I=1 TO 3
30 A(I)=I*1040 NEXT I
50 PRINT A(1)+A(2)+A(3)60 END
52. 다음 중 문자열 데이터를 기억하는 배열은 ?
① DIM B(1)② DIM A2(1)
③ DIM KS(5)④ DIM C$(5)
⑤ DIM H(3, 4)
53. 다음 중에서 영문자의 대문자와 소문자를 상호 변화시키는 기능을 가진 것은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억되는 값은 ?
10 DIM A(2, 3)20 FOR I=1 TO 2
30 FOR J=1 TO 340 DATA 5, 10, 15
50 READ A(I, J)60 NEXT J, I
70 DATA 20, 25, 3080 END
① 10② 15
③ 20④ 25
⑤ 30
50. 다음 <보기>의 조건부 분기문에서 생략할 수 있는 것은 ?
10 IF A>10 THEN PRINT A ELSE 20
① 10② IF
③ PRINT A④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DIM 명령으로 선언하여야 한다.
② 첨자로는 음수를 쓸 수 없다.
③ 문자 데이터는 기억시킬 수 없다.
④ 배열명은 일반 변수와 같은 규칙을 따라 만든다.
⑤ FOR~NEXT 문과 함께 사용하면 편리하다.
42. 다음과 같이 배열을 선언했을 때 최대 몇 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억 장소를 만들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때 데이터 기억 장소의 묶음을 배열(array)이라 한다.
또한 그 기억 장소의 이름을 배열명이라 하고, 데이터를 기억할 각각의 기억 장소를 배열의 원소라 한다.
배열의 선언(DIM 문)
동일한 성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1.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