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길상과 금기의 개념
행복을 추구하고 장수를 바라며 출세를 염원하는
본능적인 소망이 담긴 상징체계
- 吉 : 士+口 → 선비의 입은 선한 말을 해 복의 원인이 된다는 뜻
祥 : 示는 신을, 羊은 선량한 짐승 의미 → 신이 주는 좋은 징조
1.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7.0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기가 상당히 많음을 알수 있다. 언어적 특성으로부터 생성된 금기는 마찬가지로 언어적 특성을 이용하여 극복하는 것이 그 방법이다. 이중 대체의 언어의 사용이나 완곡한 표현 혹은 해음 현상을 이용하여 금기를 반대로 길상한 것으로 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기흥, 삼국 및 통일신라기 세제의 연구, 역사비평사, 1991
변태섭, 삼국통일의 민족사적 의의, 삼한일통의식과 관련하여
신형식, 통일신라사연구, 삼지원
이호영, 신라삼국통합과 여·제패망원인연구, 서경문화사
최근영, 통일신라시대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길상문양 등을 생활용품등에 새겨서 각각의 의미를 부여한 색채 활용하였고, 이는 곧 일종의 민족의 풍습이 되어 왔는데, 색채 또한 각각의 색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금기, 주술, 의식 등을 비롯하여 일상생활의 의식주 전반에 심리적 안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