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시민·이정암·이억기를 효충장의협력선무 공신, 3등은 정기원·권협·유사원·고언백·이광악·조경·권준·이순신·기효근·이운룡인데 효충장의선무 공신이라 함. 각각 관작을 내리고 군(君)으로 봉했는데 모두 18인이다)
1604
선조37년
10월29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주성전투(김시민)4-평양성전투(조명연합군)2-행주대첩(권율)2
· 탄금대에서 배수의 진을 치고 싸웠다.
· 홍계남 의병
· 정문부가 길주에서 의병을 이끌었다.2
· 곽재우, 김천일 등이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
· 삼수병으로 구성된 훈련도감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24.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때문에 진주성이 함락되면 곡창지대인 호남지역을 잃게 되고 이는 조선에 커다란 피해가 된다. 이런 요충지인 진주성을 지킨 것이 바로 진주대첩이다. 진주대첩은 전투 전부터의 체계적인 준비와 김시민 장군의 통솔력과 전략 전술, 모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주성의
어제와 오늘 변천사> 조사를 해 보왔습니다.
임진왜란 진주성 1차 전투(1592년 10월)에서 진주목사 김시민을 비롯한 아군 3,000여명이 왜군 2만여 명을 맞아 치열한 전투 끝에 적을 물리친 임진년의 대첩을 기리고, 이듬해인 계사년(15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4.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시민 장군(진주성 전투)
권율 장군(행주대첩)
2) 정유재란(1597) : 휴전협상 결렬로 왜군의 재침입→왜군을 격파→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으로 왜군 철수
43. 왜란의 결과
1) 조선의 피해
① 국토의 황폐화, 인구감소
② 신분제 동요 : 노비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