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일성의 강력한 견제 앞에서 좌절할 수밖에 없었다. 무정은 김일성 입북 훨씬 뒤인 45년 11월말쯤 귀국했다. 그때는 민족진영의 조만식과 소 군정의 지지가 명백한 김일성이 국면을 결정해 나갈 때다. 소 군정의 지도아래 이미 짜여진 국면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그리고, 3차확대 집행위원회 이후부터 분국의 명칭이 공산당 북조선 조직위원회로 바뀌었다. 공식 문서 상에서도 이 명칭이 사용되고 독자성을 강조했다. 해방 초기 소군정을 지원하고 김일성 빨치산파와 함께 북쪽을 통치해 나간 중심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련군
이승만과 김일성
박헌영과 김일성
-남북한 내부의 좌우갈등
남한:이승만-김구-박헌영-여운형
북한:김일성-국내파공산주의자-연안파-조만식
-남한의 단독수립을 둘러싼 갈등(남한)
:이승만과 친일파-나머지 국내세력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2.10.0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만식은 여러 활동을 하면서 반공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았으며 오로지 민족을 고려하는 민족적 입장에서 행동을 하였다. 이 입장에서 일부 잘못된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지적하는 조만식의 행동을 고려한다면, 이북에서의 조만식이 김일성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 신탁통치를 반대함에 따라 소련군사령부의 이 같은 구상은 비현실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련군사령부는 김일성을 1946년 2월에 수립되는 중앙정권기관의 최고책임자로 내세우게 되었다. 조만식의 반탁이 김일성의 정권기관 장악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