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한 문법 비교 연구, 한국문화사 Ⅰ. 남북한의 언어차이
Ⅱ. 남북한 언어정책의 변화
Ⅲ. 북한어의 형성과 방언
Ⅳ. 북한의 언어와 문자의 양상
1. 제1기(1945~54) :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준용
2. 제2기(1954~66) : 조선어 철자법의 공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남북 언어 통일 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1998.
<사이트>
http://www.korean.go.kr/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http://www.gyeoremal.or.kr/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홈페이지)
http://www.unikorea.go.kr/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홈페이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감광막(感光膜)) 름 · [left] (영 left 좌방(左方)) 뜨
[stouv] (영 stove 난로(煖爐)) 스또우 [a\'ket] (불 jaquette 부인상의(婦人上衣)) Ⅰ.서 론
Ⅱ.남한의 외래어 표기법
Ⅲ.북한의 외래어 표기법
Ⅳ.남북한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Ⅴ.결 론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9.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에서는 자음 글자의 이름에서 뒤 음정의 모음을 ‘ㅡ’로 통일하여 “ㄱ- 기윽, ㄴ- 니은, ㄷ- 디 Ⅰ.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의 역사
Ⅱ.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의 정의
Ⅲ.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일을 앞둔 남북한의 언어
반세기 동안 남북으로 갈라져 써 온 우리의 말과 글은 다시 한 나라말과 한 민족어로 되찾아 발전시켜야 한다.
남북한은 민족 언어에 대한 의식을 같이해야 하고, 공동 언어 규범 마련을 위해 뜻을 같이해야 할 것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