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구소련동구보다 덜 심각하리라고 기대할 수 있는 근거가 별로 없다.
Ⅸ. 결론
2002년 7월에 북한은 ‘경제관리방식 개선조치’를 단행했다. 이 조치는 몇 가지 점에서 개혁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 주요 내용은 가격과 임금, 환율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현실에서는 ‘개혁’, 또는 ‘개방화’의 경향이라고 판단해도 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남성욱(2002) : 북한 7.1 경제개선관리조치와 농업개혁, 북한의 개혁과 개방 100일 : 현황과 전망, 국제학술대회
민병천(1987) : 북한의 대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외 개방 조치 계속될 전망
- 신의주특별행정구, 개성공단특구, 금강산관광경제특구
2.2. 북한의 경제특구와 남북한 농업협력
□ 보완 프로그램 구축 필요성
'신의주특구 기본법'이 담고 있는 내용의 파격성과 구체성을 고려할 때, 북한이 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5.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우리식 문화, 도서출판 당대, 2000
서재진, 7 1조치 이후 북한의 체제 변화: 아래로부터의 시장사회주의와 개혁, 통일연구원, 2004
통계청,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결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북한의 대외무역동향
통일연구원, 북한체제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농업을 폐지하고 가족단위 영농을 하고 2중곡가를 한시적으로 도입하여 농민들의 증산의욕을 높이고, 다수확품종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또한 남북한간의 직접적인 경제통합을 촉진하는 대신에 북한경제를 세계시장에 개방하는 데 초점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600원
- 등록일 2012.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