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붕의 재료는 주로 억새풀의 일종인 새풀로 지붕을 이었으며, 강한 해풍을 막기 위해 지붕의 일자매기를 육지보다 촘촘히 매는 것이 특징이다.
Ⅸ. 너와집 지붕
너와를 강원도에서는 느에, 또는 능애라고도 한다. 이것은 2백 년 이상 자란 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너와집
너와집이란 나무가 많은 태백 산지, 소백 산지, 개마 고원 일대, 울릉도 등에서 나무를 기와 모양으로 잘라서 만든 너와로 지붕을 이은 집으로서, '너새집'이라고도 한다.지붕에는 너와가 날려 가지 않도록 돌을 얻는 것이 보통이다.
너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배되던 풀의 일종이다.
지붕은 새(芽)로 엮었으나 바람이 많아 동아줄로 묶어 처마밑까지 연결하여돌을 매달아 놓는다. 바람을 막기 위해서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현무암으로 돌담을 쌓기도 하였다. 가.전통 가옥
나. 가옥의 재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너와집④ 영남지방-그물지붕
⑤ 관북지방-정주간
한국지리(상)
Ⅲ 생활공간의 변화
27. 우리나라의 각 지방과 지붕 및 가옥의 재료가 바르게 연결된 것 2개는?(하)
① 개마고원-갈대② 제주도-돌담집
③ 관서지방-새④ 울릉도-너와
⑤ 낙동강 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붕도 끄떡없이 지탱할 정도로 구조 자체가 튼튼하다. 때문에 눈이 많이 오는 지방에서 즐겨 지었다고 한다. 집안에 기둥이 없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울릉도 투방집은 육지의 귀틀집, 너와집과 마찬가지로 전혀 못을 사용하지 않고 통나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