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가노동자가설
경기가 하강할 때 주노동자가 실직함에 따라 가족가운데
추가노동자가 가계의 소득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동에
참가하여 구직에 나선다. 그리하여 보조노동자의 참가율은 실업률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2.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8.2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여가간
무차별곡선
접점
노동/여가
효용극대화
노동자의
선택의 원리
B C
E
/
내부 해
비임금소득 有
F
/
비임금소득 多
G
0/
코너해
모서리 해
⑤임금률의 변화와 노동공급곡선
㉠임금률의 변화와 노동시간의 선택
ⓐ임금률의 상승 예산선 →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동공급
5.1 기혼여성 시간배분의 특징
- 미국남성 시장노동 49시간, 가사노동 13시간, 여가 106시간(86년)
미국여성 시장노동 39시간, 가사노동 25시간, 여가 104기간(86년)
- 한국 생활시간조사(98년)에서 남자는 평일 25분 가사, 여자는 3시간 20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여가를 증대시킨다는 것은 노동시간을 줄이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므로, 個別勞動者들은 자신의 만족을 極大化시키기 위해서 어느 정동의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을 배분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노동공급에 기본적으로 영향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5.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동자의 노동공급곡선은 임금과 이에 대응하는 노동량을 연결한 것이다. 따라서 임금상승에 따른 노동공급의 증가여부는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즉, 임금이 상승한 경우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보다 크면 여가를 노동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7,000원
- 등록일 2021.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