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상의 제한금지법규의 위반을 이유로 처음부터 쟁의행위의 정당성을 부정해서는 아니되며, ②사용자의 업무저해성만으로 쟁의행위의 정당성을 부인해서는 안될 것이다. Ⅰ. 들어가며
Ⅱ. 준법투쟁의 쟁의행위 해당 여부
Ⅲ. 유형별 쟁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투쟁은 법규 위반과는 별도로 쟁의행위에 관한 일반의 정당성 판단 기준 즉 주체 목적, 수단 절차에 따라 그 정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리라 본다.
Ⅵ. 마치며
준법투쟁이 쟁의행위에 해당된다고 하더라도 노조법상의 제한 금지법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없다. (대법원 1991. 1. 29. 선고 90도2852 판결) 같은 취지의 판례로 대법원 1991. 12. 24 선고 91도2323 판결, 1992. 3. 13. 선고 91누10473 판결, 1993. 4. 23. 선고 92다34940 판결 등이 있다. 1. 준법투쟁 관련 법리
2. 준법투쟁의 정당성 관련 주요 판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동쟁의와 쟁의행위를 구별하는 실익은 발생시기와 그 내용에서 구분된다. 즉 평화적인 단체교섭이 결렬되어 분쟁상태가 발생한 다음 다시 실력행사인 투쟁상태에 돌입하는 시기를 확정하여 노동법상의 제반규정을 적용하는데 있다. 노동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상의 논리로 볼 때 업무방해와 채무불이행으로 되지만, 근로자의 쟁의권은 헌법상 보장된 근로자의 생존권적 기본권이므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4조에서는 정당한 쟁의행위에 대하여 형사상 면책을 선언하고 있으며, 같은법 제3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3.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