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경은 절전섬유에는 아세틸콜린을 분비하나 절후섬유에는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여 작동하므로 아드레날린 작동성 뉴런이라고 한다. 1.신경조직과 형태
1) 신경조직
2) 신경세포의 형태
2. 신경전달
1) 시냅스
2) 신경전달물질과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원
- 등록일 2007.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은데, 이때 흥분은 시냅스에서 소멸되어 버린다. 따라서 하나의 뉴런에 역치 이상의 자극이라 하더라도 그 흥분이 중추까지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시냅스 중 일부는 시냅스 전 뉴런의 말단과 시냅스 후 뉴런의 막이 거의 연접되어 있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축삭돌기 말단까지 이루어진 전기적 전달은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다음 수상돌기로 화학적 전달이 이어진다. 화학적 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 중 하나는 뉴런과 뉴런의 연결 부분, 신경연결망(시냅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2.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달되는 것이다.
시냅스소포 시냅스 전 신경세포에서 흥분 전도 시냅스 도달
시냅스 소포가 터지면서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 틈으로 분비
시냅스 후 신경세포로 신경전달물질이 결합 흥분전달
신경전달물질
- 아세틸콜린 : 운동뉴런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콜린성
Acetylcholine
직간접적으로 다른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여 인지기능을 중재
흥분성과 억제성 모두 관여
수면-각성주기에 영향
근육의 활동 신호
수면장애, 치매
아미노산
흥분성:
아스파트산,
클루타메이트,
시스테인,
호모시스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