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신경전달물질과 정신과 약물 ․ ․ ․ ․ ․ ․ ․ ․ ․ ․ ․ ․ ․ ․ ․ ․ 3
A. 아민계 ․ ․ ․ ․ ․ ․ ․ ․ ․ ․ ․ ․ ․ ․ ․ ․ ․ ․ ․ ․ ․ ․ 3
B. 아미노산 ․ ․ ․ ․ ․ ․ ․ ․ ․ ․ ․ ․ ․ ․ ․ ․ ․ ․ ․ ․ ․ 9
C. 신경펩티드 ․ ․ ․ ․ ․ ․ ․ ․ ․ ․ ․ ․ ․ ․ ․ ․ ․ ․ ․ 10
Ⅱ. 신경전달물질의 분류와 기능 ․ ․ ․ ․ ․ ․ ․ ․ ․ ․ ․ ․ ․ ․ ․ ․ 11
A. 아민계 ․ ․ ․ ․ ․ ․ ․ ․ ․ ․ ․ ․ ․ ․ ․ ․ ․ ․ ․ ․ ․ ․ 3
B. 아미노산 ․ ․ ․ ․ ․ ․ ․ ․ ․ ․ ․ ․ ․ ․ ․ ․ ․ ․ ․ ․ ․ 9
C. 신경펩티드 ․ ․ ․ ․ ․ ․ ․ ․ ․ ․ ․ ․ ․ ․ ․ ․ ․ ․ ․ 10
Ⅱ. 신경전달물질의 분류와 기능 ․ ․ ․ ․ ․ ․ ․ ․ ․ ․ ․ ․ ․ ․ ․ ․ 11
본문내용
해마와 대상회로 가는 경로, 그리고 기저신경절 내부의 회로가 있다.
뇌의 아세틸콜린은 기억의 등록에 관여하며 따라서 알츠하이머형 치매에서 나타나는 기억력 장애가 관련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 치매 약물요법
- Cholinergic 약물
- Acetylcholinesterase 억제제 : Tacrine, Cognex
- 불면과 불안 → Benzodiazepine계 약물
- 우울증 → 항우울제
- 망상과 환각 → 항정신병 약물
- 치매진행억제 → Donepezil (Aricept)
▣ 아세틸 콜린의 수용체
(1) 니코틴 수용체 : 최근 금연, 치매 등의 기전과 관련되어 많이 연구되고 있음
(2) 무스카린 수용체 : 무스카린의 효과는 타액분비, 땀분비, 축동, 호흡곤란, 복통, 설사,
현기증, 의식혼탁, 쇠약 및 혼수상태의 유발
⇒ 이 작용의 차단 ?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인 시야혼탁, 구갈, 변비, 배뇨곤란 등을
유발하며 중추신경계의 지나친 항콜린 작용은 의식혼탁과 섬망 유발
▣ 타우린(Taurine) : 콜린성 활동을 증가시켜 치매의 치료에 효과적
▣ 정형 항정신병 약물 : 항콜린 작용이 있음
▣ 아트로핀(Atropine), 스코폴라민(Scopolamine) : 무스카린 수용체를 차단
B. 아미노산
아미노산은 인체에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중추신경계에 있는 모든 신경은 글루타민산 등과 같은 흥분성 아미노산에 의해 활성화되고
GABA와 같은 억제성 아미노산으로 억제된다.
■ GABA (Gamma-aminobutyric acid)
글루타민산 유도체로서 Glycine과 더불어 억제성 아미노산계 신경전달물질이다.
▣ GABA 경로
미상핵과 피각에서 시작하여 담창구, 흑질 및 대뇌피질로 가는 경로를 나타낸다.
중추신경계 대부분의 신경원에 수용체가 존재하며, 대부분의 항불안제와 항경련제가
GABA계를 활성화한다는 점으로 미루어 GABA계의 기능은 불안, 간질과 관계가 있다.
헌팅톤 병에서 피각과 담창구에서의 GABA 신경세포의 소실이 GABA계의 억제기능을 소실시켜 무도병 증세를 일으킨다.
▣ Benzodiazepine계 약물
- Chlordiazepoxide (Librium)
- Diazepam (Valium)
- Lorazepam (Ativan)
- Flurazepam (Dalmadorm) 수면제
■ 글루탐산염 (Glutamate)
구조적 기능적 단백질의 합성에 사용되며 신체의 모든 세포에서 발견되는 흥분성 아미노산계 신경전달물질이다. 중추신경계에서 신경조직을 과다 흥분시키므로 흥분성 신경독소로 알려져 있었다. 이 물질의 과다노출은 신경세포에 해로우며 퇴행성 질환인 뇌졸중과 헌팅톤병과 같은 정신증상을 유발한다.
▣ 글루탐산염 차단제 : 과다흥분으로 말미암은 발작과 신경퇴행을 방지
■ 글리신 (Glycine)
중추신경계의 척수, 뇌간에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글루탐산염 기능에 보조적으로 기능하거나 자체 수용체와 결합하여 억제적으로 기능한다. 글리신의 억제성 기능은 척수, 뇌간과 망막에 한정되어 GABA 보다는 더 제한되어 중추신경계에 작용한다.
C. 신경펩티드
신경계에서 발견되는 모든 펩티드를 총칭하며 대뇌피질, 편도, 선조체, 시상하부, 봉선핵,
뇌간 및 척수 등의 부위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Endorphin이 효시이고, 펩티드 등은 신경세포체나 수상돌기에 있는 리보솜의 mRNA에서 합성되고 저장되고 유리된다.
신경펩티드는 다른 신경전달물질과 공존하며 보통 1차적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강화시키거나 지속시켜주는 등 보조 역할을 한다.
■ 엔도르핀과 엔케팔린 (Endorphin & Enkephalin)
억제성 물질로써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과 통증조절 및 기분조절에 관계하고 있다.
도파민의 방출에 영향을 미치며 도파민성 뉴런의 자발적 활동에 관여한다.
■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ACTH),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촉진호르몬 (CRF)
스트레스와 감정 기억에 관계있다.
■ 콜레시스토키닌 (Cholecystokinin, CCK)
식사에 관여하는 섭식장애와 상동증인 운동장애, 정신분열병과 관계있다.
■ 뉴로텐신 (Neurotensin)
정신분열병과 관계있다.
■ 소마토스타틴 (Somatostatin)
헌팅톤 병과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관련있다.
■ 물질 P (Substance P)
척수, 뇌, 감각신경원에 분포하고 있으며 흥분성 전달물질로 통증과 감정에 관계한다.
헌팅톤 병, 알츠하이머형 치매, 기분장애 등에서 이의 이상이 발견되다.
▣ Morphine : 물질 P를 차단 → 통증 감소
■ 바소프레신 (Vasopressin) 과 옥시토신 (Oxytocin)
감정조절 외에도 학습과 기억에 관여한다.
Ⅱ. 신경전달물질의 분류와 기능
신경전달물질
기능
관련정신질환
생체아민: 카테콜라민
Dopamine
쾌감, 복합적인 운동행동에 관여
일반적으로 흥분성에 관여
복잡한 운동, 동기화, 인지, 감정 반응 조절
조현병, 기분장애
Norepinephrine
환경인식, 주의력 학습, 기억 및 각성 조절
흥분성과 억제성 모두 관여
자극에 대한 반응여부 결정, 기분 조절
Epinephrine
뇌에 제한적으로 존재, ‘투쟁-도피 반응’
생체아민: 인돌아민
Serotonin
체온 정상화, 기분, 불안 등에 관여
억제성에 관여
수면과 각성상태에 영향
기분, 섬망, 환상, 조현병의 음성증상에 영향
증가시: 불안장애
감소시: 우울, 자살,
공격성, 충동성
Histamine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
정신약물과 관련된
체중증가
생체아민: 콜린성
Acetylcholine
직간접적으로 다른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여 인지기능을 중재
흥분성과 억제성 모두 관여
수면-각성주기에 영향
근육의 활동 신호
수면장애, 치매
아미노산
흥분성:
아스파트산,
클루타메이트,
시스테인,
호모시스테인산
억제성:
GABA, 글리신
알려지지 않음
높은 농도는 독성으로 작용
신체활동을 지연시킴
치매, 조현병, 불안장애
신경펩티드
엔돌핀,
엔케팔린,
뉴로텐신,
콜레시스토키닌,
물질 P 등
이차적인 메신저 역할을 담당하고
통증반응을 조절하는 데 관여
알츠하이머 병, 동작장애
뇌의 아세틸콜린은 기억의 등록에 관여하며 따라서 알츠하이머형 치매에서 나타나는 기억력 장애가 관련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 치매 약물요법
- Cholinergic 약물
- Acetylcholinesterase 억제제 : Tacrine, Cognex
- 불면과 불안 → Benzodiazepine계 약물
- 우울증 → 항우울제
- 망상과 환각 → 항정신병 약물
- 치매진행억제 → Donepezil (Aricept)
▣ 아세틸 콜린의 수용체
(1) 니코틴 수용체 : 최근 금연, 치매 등의 기전과 관련되어 많이 연구되고 있음
(2) 무스카린 수용체 : 무스카린의 효과는 타액분비, 땀분비, 축동, 호흡곤란, 복통, 설사,
현기증, 의식혼탁, 쇠약 및 혼수상태의 유발
⇒ 이 작용의 차단 ?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인 시야혼탁, 구갈, 변비, 배뇨곤란 등을
유발하며 중추신경계의 지나친 항콜린 작용은 의식혼탁과 섬망 유발
▣ 타우린(Taurine) : 콜린성 활동을 증가시켜 치매의 치료에 효과적
▣ 정형 항정신병 약물 : 항콜린 작용이 있음
▣ 아트로핀(Atropine), 스코폴라민(Scopolamine) : 무스카린 수용체를 차단
B. 아미노산
아미노산은 인체에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중추신경계에 있는 모든 신경은 글루타민산 등과 같은 흥분성 아미노산에 의해 활성화되고
GABA와 같은 억제성 아미노산으로 억제된다.
■ GABA (Gamma-aminobutyric acid)
글루타민산 유도체로서 Glycine과 더불어 억제성 아미노산계 신경전달물질이다.
▣ GABA 경로
미상핵과 피각에서 시작하여 담창구, 흑질 및 대뇌피질로 가는 경로를 나타낸다.
중추신경계 대부분의 신경원에 수용체가 존재하며, 대부분의 항불안제와 항경련제가
GABA계를 활성화한다는 점으로 미루어 GABA계의 기능은 불안, 간질과 관계가 있다.
헌팅톤 병에서 피각과 담창구에서의 GABA 신경세포의 소실이 GABA계의 억제기능을 소실시켜 무도병 증세를 일으킨다.
▣ Benzodiazepine계 약물
- Chlordiazepoxide (Librium)
- Diazepam (Valium)
- Lorazepam (Ativan)
- Flurazepam (Dalmadorm) 수면제
■ 글루탐산염 (Glutamate)
구조적 기능적 단백질의 합성에 사용되며 신체의 모든 세포에서 발견되는 흥분성 아미노산계 신경전달물질이다. 중추신경계에서 신경조직을 과다 흥분시키므로 흥분성 신경독소로 알려져 있었다. 이 물질의 과다노출은 신경세포에 해로우며 퇴행성 질환인 뇌졸중과 헌팅톤병과 같은 정신증상을 유발한다.
▣ 글루탐산염 차단제 : 과다흥분으로 말미암은 발작과 신경퇴행을 방지
■ 글리신 (Glycine)
중추신경계의 척수, 뇌간에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글루탐산염 기능에 보조적으로 기능하거나 자체 수용체와 결합하여 억제적으로 기능한다. 글리신의 억제성 기능은 척수, 뇌간과 망막에 한정되어 GABA 보다는 더 제한되어 중추신경계에 작용한다.
C. 신경펩티드
신경계에서 발견되는 모든 펩티드를 총칭하며 대뇌피질, 편도, 선조체, 시상하부, 봉선핵,
뇌간 및 척수 등의 부위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Endorphin이 효시이고, 펩티드 등은 신경세포체나 수상돌기에 있는 리보솜의 mRNA에서 합성되고 저장되고 유리된다.
신경펩티드는 다른 신경전달물질과 공존하며 보통 1차적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강화시키거나 지속시켜주는 등 보조 역할을 한다.
■ 엔도르핀과 엔케팔린 (Endorphin & Enkephalin)
억제성 물질로써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과 통증조절 및 기분조절에 관계하고 있다.
도파민의 방출에 영향을 미치며 도파민성 뉴런의 자발적 활동에 관여한다.
■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ACTH),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촉진호르몬 (CRF)
스트레스와 감정 기억에 관계있다.
■ 콜레시스토키닌 (Cholecystokinin, CCK)
식사에 관여하는 섭식장애와 상동증인 운동장애, 정신분열병과 관계있다.
■ 뉴로텐신 (Neurotensin)
정신분열병과 관계있다.
■ 소마토스타틴 (Somatostatin)
헌팅톤 병과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관련있다.
■ 물질 P (Substance P)
척수, 뇌, 감각신경원에 분포하고 있으며 흥분성 전달물질로 통증과 감정에 관계한다.
헌팅톤 병, 알츠하이머형 치매, 기분장애 등에서 이의 이상이 발견되다.
▣ Morphine : 물질 P를 차단 → 통증 감소
■ 바소프레신 (Vasopressin) 과 옥시토신 (Oxytocin)
감정조절 외에도 학습과 기억에 관여한다.
Ⅱ. 신경전달물질의 분류와 기능
신경전달물질
기능
관련정신질환
생체아민: 카테콜라민
Dopamine
쾌감, 복합적인 운동행동에 관여
일반적으로 흥분성에 관여
복잡한 운동, 동기화, 인지, 감정 반응 조절
조현병, 기분장애
Norepinephrine
환경인식, 주의력 학습, 기억 및 각성 조절
흥분성과 억제성 모두 관여
자극에 대한 반응여부 결정, 기분 조절
Epinephrine
뇌에 제한적으로 존재, ‘투쟁-도피 반응’
생체아민: 인돌아민
Serotonin
체온 정상화, 기분, 불안 등에 관여
억제성에 관여
수면과 각성상태에 영향
기분, 섬망, 환상, 조현병의 음성증상에 영향
증가시: 불안장애
감소시: 우울, 자살,
공격성, 충동성
Histamine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
정신약물과 관련된
체중증가
생체아민: 콜린성
Acetylcholine
직간접적으로 다른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여 인지기능을 중재
흥분성과 억제성 모두 관여
수면-각성주기에 영향
근육의 활동 신호
수면장애, 치매
아미노산
흥분성:
아스파트산,
클루타메이트,
시스테인,
호모시스테인산
억제성:
GABA, 글리신
알려지지 않음
높은 농도는 독성으로 작용
신체활동을 지연시킴
치매, 조현병, 불안장애
신경펩티드
엔돌핀,
엔케팔린,
뉴로텐신,
콜레시스토키닌,
물질 P 등
이차적인 메신저 역할을 담당하고
통증반응을 조절하는 데 관여
알츠하이머 병, 동작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