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의 길이, b=보의 너비, h=보의 높이,
=S20C의 항복응력, =단면 2차 모멘트, y=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
이론값과의 차 = 1.5 - 1.43 0.07
4. 고 찰
: 보의 굽힘에 관한 마지막 실험으로 보의 처짐에 대한 단순지지 보의 소성 휨 측정
실험을 하였다. 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순지지 보의 소성 휨 측정
◎실험 결과 (L=0.75m)
처짐(mm)
부하하중(N)
0
0
3
23
6
47
9
71
12
97
15
116
18
136
21
164
24
184
27
208
30
229
33
247
36
258
39
285
42
306
45
322
*소성 붕괴모멘트()
그래프에서 선도가 살짝 꺾이는 부분을 항복점으로 잡을 수 있으므로, 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3.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의 처짐
* 실험 목적
보에 과대하중이 작용 시 소성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하고, 보의 소성파괴 모드를 이해한다.
실험3 - 단순 지지 보의 소성 휨 측정
1. 이론적 배경
보의 설계 시 어떤 부분이라도 적용 재료의 허용범위 보다 많은 응력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긋남의 비율
• 원래의 길이가 L 이었던 물체가 하중을 받아 길이 L'로 바뀌었을 때 변형량(δ)은
δ = L` - L 1.실 험 목 적
2. 실 험 장 비
3. 실 험 이 론
4. 실 험 방 법
5. 실험 값의 보정
6. 주 의 사 항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2.05.1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성화는 극히 미세하여 탄성범위 내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b)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최하단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최대 휨인장응력도는 fb 인데 보 하단에서 생긴 크랙으로 인하여 같은 지점에서의 단순인장응력도는 ft이므로 (fb - ft) 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