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薬や治療などに使った。そして端午の日の午時にお風呂に入ったら病気がなくなると言い、‘단오물맞이’と砂風呂をした。 1. 序論
2. 本論
3.結論
4. 参考文献およびウェブサイト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1.1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오절에서는 개두를 전쟁의 도구로 생각하는 것이아니라 아기의 목숨과 건강을 지켜주는 상징으로 장식하고 있다.
3.고이노보리
1)유래
고이노보리는 중국의 등용문의 고사에 유래된다. 고이노보리의 “고이”는 일본어로 잉어다.
“노보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오절에서 시작되어 무사정권 때부터 어린이에 초점이 맞춰지다가 전후에 국가에서 제정.
우마(午)와 다섯(五)의 발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5월 5일이 액막이를 하는 중요한 날로 인식
잉어 모양의 천을 막대에 매달아 깃발처럼 집 밖에 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8.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어사
◇ 이사벨라 버드 비숍 작, 이인과 역(1994),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살림
◇ 조완묵(1996), 우리민족의 놀이문화, 정신세계사
◇ 최호열, 프랑스와 프랑스인, 어문학사
◇ 최우일(1988), 한국의 민속놀이 우리 삶 우리 놀이=Our life, our play,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어뱅크 Ⅰ. 서론
Ⅱ. 본론
1. 쇼가쓰
2. 성인의 날(成人の日)
3. 세쓰분(節分)
4. 히나 마쓰리(ひな祭)
5. 하나미(花見)
6. 어린이날(단고노셋쿠)
7. 칠석(七夕)
8. 오본(お盆)
9. 쓰키미(月見)
11. 시치고산(七五三)
12. 오미소카(大晦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