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답교놀이(다리밝기)
음력 정월 대보름 밤에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개천 또는 강의 다리 위를 끝에서 끝까지 왔다 갔다 하면서 노는 놀이를 <다리밟기><답교놀이> 또는 강릉 지방에서는 <다리빼앗기>라고도 합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답교한 후 짚으로 만든 자루 속에 명태나 돈을 넣어서 다리 끝 아래로 던져버리는 신앙적 행위도 있었다.
다리를 건너는 방법도 지방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서울지방은 있는 다리를 모두 건너거나 12다리를 건너지만, 다리 셋을 건너면 되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 호모루덴스 [Homo ludens]
3) 인간이 노는 이유
3. 줄다리기
4. 강강술래
5. 답교놀이
6. 귀족적 놀이, 서민적 놀이
1) 귀족적 놀이
(1) 투호
(2) 승람도놀이
2) 서민적 놀이
(1) 석전
(2) 씨름
7. 오늘날의 놀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답교놀이)
다리밟기는 답교(踏橋)라고도 하는데 이수광(李光)의《지봉유설(芝峰類說)》에 의하면 다리밟기는 고려시대에 시작되었다고 하나, 이것은 중국의 풍속이 고려에 전해진 것이다. 다리밟기는 대보름날 밤에 남녀노소가 모두 거리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또는 그 지방에서 제일 오래된 다리를 자기의 나이 수대로 왕복하거나, 횃불을 들고 건너다니다가 그 횃불이 나이 수를 채울 때까지 꺼지지 않으면 행운이 오고, 만약 꺼지면 재수가 없다고 믿는 지방도 있었다고 한다.
* 놀이 효과 *
1. 놀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