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 백산서당. 1999
한홍구, <대한민국史>. 한겨레신문사. 2003
존 메릴 . <새롭게 밝혀낸 한국전쟁의 기원과 진실>. 두산동아. 2004
한국전쟁전후민간인학살진상규명범국민위원회. <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6.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4·3사건, 효원사학회
* 권귀숙(2002), 대량학살의 사회심리 :제주 4·3사건의 학살 과정, 한국사회학회
* 박찬식(2004), 북한의 \'제주4·3사건\' 인식, 한국근현대사학회
* 박찬식(2010), 한국전쟁과 제주지역 사회의 변화 : 4ㆍ3사건과 전쟁의 연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 4 ·3의 사회적 기억, 한국사회학회
2. 권귀숙(2002), 대량학살의 사회심리 :제주 4·3사건의 학살 과정, 한국사회학회
3. 이정석(2008), 제주 4·3사건을 기억하는 두 가지 방식, 한국어문학회
4. 정석균(2000), 제주 4·3사건의 진상, 국방부
5. 현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 4.3 3 - 허영선
근대성과 폭력: 제주43의 담론정치 - 김성례
43이후 50년, 역사문제연구소 외편- 김종민 1. 제주43사건 이란?
2. 제주43사건 사건배경과 발생원인
3. 제주43사건 특징과 의의
4. 제주43사건 전개과정
5. 제주43사건의 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900원
- 등록일 2019.08.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43은 한국전쟁을 제외하고 남한에서 해방이후 가장 많은 양민이 학살된 사건이다. 그 사건의 전개기간과 학살의 강도, 사건 이후 상처의 여진은 고난으로 점철된 제주의 역사 가운데서도 가장 깊고 선명하게 남아있다.
이러한 사건의 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