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장균군은 배양후 금속성 광택을 띠는 붉은색의 집락을 형성하는데 페트리디쉬를 저배율(10 또는 15배)의 해부현미경이나 실제현미경 위에 올려 놓고 관찰된 집락수를 계수한다. 대장균군은 시료 100㎖중에 들어 있는 대장균군 집락수로 나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장균은 사람 장내에서 우세한 통성혐기성균이며, 장의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유지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오늘날 병원성 대장균은 4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1) 장병원성 대장균(Enteropathogenic E. coli: EPEC), (2) 장독소원성 대장균(Enterotoxige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4.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중독
◉ 대장균 O-157이란?
1. 대장균 O-157:H7이란?
2. 대장균 O-157:H7이라는 이름은 어떻게 붙여진 것인가?
3. 그렇다면 왜 무서운가?
4. O-157:H7이 치명률이 높고 사망에 이르게 되는 원인은?
5. O-157:H7의 사멸온도 및 시간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장균군의 수를 산출하며, 최확수(MPN)로써 표시한다.
실험 이론
1. 일반사항
대장균군은 [Gram음성, 무아포성 간균의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발생하는 모든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균]을 말한다.
대장균군은 온혈동물의 장과 내장에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5.06.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장균 식중독
[5] Clostridium Welchii 식중독
6〕Listeria monocytogenes
[7] Yersinia enterocolitica 식중독
◉ 대장균 O-157이란?
3-2 독소형 식중독 (bacterial toxins)
[1]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식중독
[2] Clostridium botulinus 식중독 (botulism)
[3] Bacillus cereu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