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극에 도달한 전자를 받아 다시 I₃로 환원되는 전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효율성 높은 전해질 및 홀 전도체 개발 기술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상용화와 효율성 면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1.5.2. 전해질 기술
전해질의 매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할을 하고 산화된 I3-는 대전극에 도달한 전자를 받아 다시 I-로 환원된다. 액체형의 경우 산화-환원 이온 종이 매질 내에서 신속하게 움직여 염료의 재생을 원활하게 도와주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변환 효율이 가능하지만, 전극간의 접합이 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cm2에서 Voc = 0.664 V, Jsc = 7.2 mA/cm2, FF = 0.58, η = 4.2%의 높은 효율을 보여주었다 (그림 11).
그림 10. Epychlomer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염료응답 태양전지의 IPCE 스펙트럼. 빛을 쬐여준 방향 : 광전극 (■), 대전극 (●)
그림 11. PEO/TiO2/LiI/I2 고분자 전해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8.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극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2장을 포갰을 경우, 각 금속막이 대전극(對電極)이 되고, 그 사이에 1장의 종이가 절연물로서 끼워진 콘덴서가 된다. 특징은 전극이 대단히 얇기 때문에 종이의 작은 구멍에서 절연파괴가 일어나도, 그 주위의 금속막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전극으로 값비싼 PT백금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요오드 용액보다는 최근들어 나노입자의 산화물을 고분자와 혼합한 나노콤포지트형 전해질이 개발되어 변환효율도 좋고 반응성도 적은 장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우리가 모든 실험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20.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