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일 과거사 처리의 원점, 1996년,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원덕
▶ 한일 관계사 연구, 2004년, 도서출판 소화, 지명관 1. 한일회담 전 한일 배상문제
(1) 일본 재산의 처리 문제․․․․․․․․․․․․R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일문학의 비교, 일본문제연구소, 1975
양승국 / 한국 근대문학 형성에 미친 일본 신파극의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2001
오오타케 키요미 / 한일 아동문학 관계사 서설, 청운, 2006
최광준 / 고대한일문학과 문학적 풍토, 신라대학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08년”, 2009
노중국, 5세기 한일관계사-<송서> 왜국전의 검토-,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Ⅰ. 序
Ⅱ. 왜왕의 도독제군사호 요청
1. 내용
2. 의미
3. 소결
Ⅲ. 5세기의 한일관계
1. 칠지도
2. 광개토대왕비문
Ⅳ. 결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일관계사
9.이영식,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북한 역사학계의 입장
10.이영식 \"임나일본부는 왜의 통치기관이 아니다.\" 왜곡과 콤플렉스의 역사1 한일관계사 학회
11.황백현 \"일본교과서 한국역사 왜곡의 실체\" 국민독서운동회 1992 1.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6.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일관계사》, 혜안, 1998.
◇李丙燾, 〈百濟七支刀考〉, 《震檀學報》 第 38號, 1974.
◇李道學, 〈百濟 七支刀 名文의 再解釋〉, 《韓國學報》 60, 一志社, 1990.
◇金貞培, 〈七支刀 硏究의 새로운 방향〉, 《東洋學》 第 10輯, 단국대 부설 동양학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일관계사』, 한마당, 1989
김인배·김문배, 『역설의 한일 고대사 任那新論』, 고려원, 1995
니시지마 사다오 지음, 이성시 엮음, 송완범 옮김, 일본의 고대사인식 - ‘동아시아세계론’과 일본,
역사 비평사, 2008
西嶋定生, 「廣開土王碑辛卯條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계사 연구, 소화
최영호(2002) : 현대 한·일관계사, 국학자료원
최상룡·이원덕·이면우(1998) : 탈냉전기 한·일관계의 쟁점, 집문당
하영선 편(1997) : 한국과 일본, 도서출판 나남 Ⅰ. 한?일기본조약
1. 대한민국의 관할권
2. 구조약의 효력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시의정원은 상해임시정부를 조직하고 대내외에 선포하는 작업을 완료했다.
임시의정원의 이러한 위상은 임시헌장에 보장된 행정부에 대한 의회 우위 조항에 따른 것이기도 했다. 임시헌장은 권력구조에 대해 “대한민국은 임시정부가 임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시정부 관련 독립운동사적지를 소개하는 글이나 역사기행문의 등장은 이 분야의 연구자만이 아니라 대중화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희곤(2009),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대로 알기, 본질과현상사
고정휴, 김주용 외 3명(2010), 대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한민국의 권력은 임시의정원이 가짐"이라고
규정한 것은 1차 개헌에서 "대한민국의 주권은 대통령에게 전임함"
이라 할 것과 제2차 개헌에서 "대한민국은 임시정부가 통치함지라
한 것에 비하면 정부의 지위가 얼마나 떨어졌는지 잘 알 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5.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