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대강 살리기 마스터 플랜에 따라 2년 6개월 동안 파내는 준설토는 서울 남산의 11배에 해당하며 미흡한 주먹구구식 밀어불이기 사업으로 건조하거나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이면 구미나 왜관 등 낙동강 인근 도시는 모래바람 피해가 예상되고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0.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대강 공사로 구멍 뻥 뚫려, 뷰스앤뉴스, 2010.10.20
4대강 정비 사업, 위키백과, ko.wikipedia.org
긴급토론회 - 4대강 정비사업, 대운하가 아닌가?, ko.wikipedia.org
정부 발표 자료, 1215(석간 본문) 정부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본격추진(하천계획과) 1.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주요 내용과 파급효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권오현(2009),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 배경 및 해외 사례 벤치마킹”,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안경문(2009), “분쟁이 있는 4대강 살리기 중 금강 살리기에 대한 연구”, 한국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대강 살리기 사업은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운하사업이 아니고 수량확보, 수질개선, 생태환경조성 등 강을 강답게 만드는 사업이다.
2. 4대강 보 건설로 수질이 악화되는 것 아닌가?
1) 하천 내 농경지 정리로 오염물질의 하천 유입 차단
2) 인(T-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8. 유럽의 성공적인 대운하 건설 사례
1) 대운하 건설로 인한 경제효과 사례
2) 아름다운 관광 자원이 된 사례
9. 대운하 사업에 예상되는 문제점
1) 상수원 훼손
2) 물류문제
3) 대홍수 문제
4) 환경오염
5) 불법체류자 문제
참고자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