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다.
(사진 : 아관파천으로 러시아공사관에서 일본군의 알현을 받는 고종의 모습) 수선전도
경운궁
대한문
중화문과 중화전
석어당
함녕전
정관헌
즉조당
석조전
경운궁 주변답사
중명전
구 러시아공사관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덕수궁 함녕전에서 돌아가신 것으로 알려져 3·1 독립운동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던 곳이다.
덕수궁에는 지난날 많은 건물이 있었으나 현재 약 1만8635여 평의 경내에 남아 있는 것은 대한문, 중화전, 광명문, 석어당, 준명당, 즉조당, 함녕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593 (선조26) 월산대군 저택을 행궁으로 사용
1611(광해 3 ) ’경운궁’이라는 궁호를 붙임
1615(광해 7 ) 광해군이 창덕궁으로 이어하여 별궁이 됨
1618(광해 10) 인목대비 유폐, 서궁으로 불림
1623(인조) 경운궁 대부분의 가옥과 대지를 원주인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0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버린 위상을 그대로 담고 있는 궁이다. 덕수궁은 원래의 궁역의 1/3밖에 남아있지 않으며 전통의 궁의 모습을 찾기 힘들다. 답사를 다녀보며 느낀 것은 현재의 덕수궁의 모습은 궁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건물들만이 겨우 살아남아 있는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덕수궁, 김순일, 1997년, 대원사
덕수궁, 편집부 편, 1986년, 열화당 Ⅰ. 덕수궁 연혁
1. 덕수궁의 건립
2. 구한말의 덕수궁
3. 일제시대의 덕수궁
4. 해방 후의 덕수궁
Ⅱ. 덕수궁의 주요 건물
1. 대한문
2. 함녕전과 광명문
3. 중화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