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수과실원리의 예외인 불가피한 발견의 예외, 선의의 예외, 임의적 진술에 의한 증거물의 획득의 예외 등이 적용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이상의 점을 고려할 때 쟁점 (2)와 (3)의 증거의 증거능력은 부정되어야 한다. 공소장변경
Ⅰ.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3.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체사진이 피고인에 대한 간통죄에 있어 위법수집증거로서 증거능력이 배제되지 않는다고 판시[97도1230]하여, 사인의 경우에는 위 법칙을 적용하지 않는 입장이다. 1. 증거능력의 부정
2. 독수의 과실이론
3. 사인에 의한 위법수집증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법수집된 압수물의 증거능력 부정(판례변경)작성자 달마 - 다음 블로그
네이버사전
연합뉴스
국회법률지식정보시스템 1. 위법수집증거배제의 원칙
2. 독수과실이론
3. 압수물의 증거능력
4. 관련 논의
5. 관련판례
6. 사견
7. 출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독수의 과실이론
① 의의
독수의 과실이론이란 미국의 Silverthorne 사건(1920년)에서 확립된 이론으로서 위법하게 수집된 제1차 증거에 의해 발견된 제2차 증거의 증거능력을 배제하는 이론을 말한다. 학설은 독수의 과실, 즉 제2차 증거의 증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독수과실의 이론
원칙적으로 파생증거의 증거능력을 부인해야 하지만, 희석이론`독립된 증거원의 이론`불가피한 발견의 이론 등에 의하여 증거능력이 예외적으로 회복되는 경우를 인정하여야 한다. 1. 자백의 의의
2. 자백배제법칙
4. 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