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을 철회한 동강댐 백지화 사례는 '선 계획 후 개발'을 원칙으로 하는 지속가능한 국토 이용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더 나아가 동강댐 백지화는 새만금 간척, 지리산 양수댐 건설 등 지금도 계속되는 국토 파괴형 대형 사업들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1.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댐이다. 저수용량은 3억1천만 톤으로 소양강댐의 10분의 1을 약간 넘는 규모이다. 수자원 이용 및 홍수조절용 댐은 평화의 댐 건설 후 지난 10여 년간 단 1개소도 건설하지 못했으며, 동강댐건설 계획이 좌절된 후 신규 댐의 확보 등 수자원관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방 군소하천 정비가 더 시급
3) 보 설치로 인한 수질의 악화
10.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찬반입장
1)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찬성입장
2)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반대입장
Ⅲ. 맺음말(4대강 살리기에 대한 나의 견해)
Ⅳ. 참고문헌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9.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서론
Ⅱ. 동강의 가치
1. 생태학적 가치
2. 문화적 가치
Ⅲ. 동강댐(영월다목적댐) 사업개요
1. 시행동기 및 배경
2. 추진연혁
3. 사업규모
4. 사업효과
Ⅳ. 동강댐 건설의 찬반론
Ⅴ. 동감댐 건설과 반대 과정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강댐 갈등의 전개과정에서 지역주민의 입장이 부각되지 못했다. 한 지역에서 사업의 진행에 있어 직접적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그 지역의 주민들의 입장이 존중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논의의 초기단계에서부터 공익을 내거 환경과 개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