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북아에 다자간 안보공동체가 설립될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Ⅶ. 결론
새로운 다자간 안보협력체를 신설하기보다 KEDO라는 기존의 대화협력채널을 활용하며, ARF나 CSCAP, NEACD 등 기존의 다자안보협의체 및 2국간 동맹과 중층적으로 연계되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북아시아(동북아) 다자간 안보체제
1. NPT체제의 허실과 전략적 핵협력의 필요성
2. 핵 군비감축과 다자간 안보체제 구축의 의미
Ⅲ. 동북아시아(동북아) 다자간 안보협의체
1. 부정적 시각
2. 긍정적 시각
Ⅳ. 동북아시아(동북아) 비핵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북아다자안보협의체를 우선적으로 구성하고 인권을 연계시켜나가는 방안이다. 6자회담에서 북한 핵문제가 해결의 발판을 마련할 경우 앞으로 동북아 차원의 안보협력체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유럽의 경우에서 보듯이 안보 및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자안보협력 모색과 그 가능성: 유럽지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제10집 2호
▷ 엄태암(2001),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 구상의 논의 경과와 전망, 국방정책연구(겨울)
▷ 이상균(1997),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 구축 방안: 유럽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자주의 : 동아시아의 현황과 전망, 환동해권 협력의 국제정치경제 세미나 보고서, 1998
ⅱ. 엄태암,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 구상의 논의 경과와 전망, 국방정책연구, 2001
ⅲ. 이대우, 동북아의 다자간 안보협력, 1998
ⅳ. 청와대 정책기획위원회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