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적, 경기도 시도패총 등을 조사함으로써 한반도 서해안지역에서 개시되었다. 그 뒤 후지타*요코야마*아리미쓰 등에 의하여, 1925년 암사동, 1930년 부산 동삼동패총, 1932년 동북지역의 유판패총 등이 조사됨으로 써, 한반도 전체의 빗살무늬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 패총(http://www.heritagebusan.com/htg/htg24.htm)
임효재, 「한국 신석기시대 연구사」,(한국고대학회, 2006)
한영희, 「신석기시대의 사회」,『한국사』(한길사, 1994)
한국중앙박물관, 『동삼동패총Ⅰ~Ⅳ』
『신석기시대 동삼동패총이야기』, 패총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적, 경기도 시도패총 등을 조사함으로써 한반도 서해안지역에서 개시되었다. 그 뒤 후지타*요코야마*아리미쓰 등에 의하여, 1925년 암사동, 1930년 부산 동삼동패총, 1932년 동북지역의 유판패총 등이 조사됨으로 써, 한반도 전체의 빗살무늬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8.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삼동
동삼동유적에서는 목도기부터 두도-영도기까지는 바다짐승이 뭍짐승보다 더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영도기에서는 뭍짐승의 비율(60%)이 더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곧, 신석기시대의 이른 시기나 늦은 시기의 구분없이 거의 전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5.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패총이란?
2. 패총의 형성과정
3. 지역별 ․ 시기별 특징
4. 패총의 조사와 분석
5. 부산지역 패총 유적
Ⅲ. 동삼동 패총을 통해본 신석기인들의 생활
1. 동삼동 패총 개요
2. 동삼동패총 출토유물
3. 동삼동인들의 생활
Ⅳ. 맺음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