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득오가 그렇게 그리워하는 죽지랑은 과연 어떤 상황에 처해있었던 것일까. 이에 대한 생각을 여운으로 남기면서 이 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정렬모(1999), 『향가연구』, 한국문화사.
김병욱 편저(1994), 『고전시가』, 하이라이트(주) 지학사 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득오가 죽지랑(竹旨郎)을 사모하여 지었다는 노래로 ≪ 삼국유사 ≫ 권2 효소왕대 죽지랑조(孝昭王代 竹旨郎條)에 관련설화와 함께 가사가 전한다. 이 노래의 이름은 양주동 ( 梁柱東 )이 ‘ 모죽지랑가 ’ 라고 칭한 이외에도 오구라(小倉進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음을 씻어 주고자 하였는데, 도망쳐 버렸으므로 그의 아들을 대신 잡아갔다. 때는 동짓달 몹시 추운 날인데 성 안의 못에서 목욕을 시키니 얼어 죽었다. 대왕이 이 말을 듣고 모량리 사람을 모두 벼슬에서 1. 서론
2. 향가 개론
3.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8.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음이 들어가 있게 마련이니 말이다. 또한 득오는 단순히 죽지랑을 추모하고만 있지 않다. 피안의 세계에서 다시 만날 날이 있을 것이라고 믿고 미래에 대한 의지를 담고 있다. <모죽지랑가>는 8구체 향가이지만 어느 사뇌가 못지않은 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위대함이나 인품을 알리기 위해서 유명하고 덕이 있는 다른 낭도승이나 화랑들을 예찬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향가에 나타나 있는 사상들은 여러 가지이고, 또 많은 역할과 기능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