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배경
실존주의적 영향 – 시몬 드 보브아르
저서 제2의성(1949)에서 여성의 타자성을 선포함
해체론적 영향 – 자끄 라깡 자끄 데리다
서구사상의 가장기본적 가설인 자아정체성, 진리 를 의심
언어가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5.1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스트바 등
기존 페미니즘의 변두리에 대한
배제와
추방을 거부하고 다원성을
찬양함.
즉 다양한
이론 가능
루스
이리가레이- [This Sec Which Is Not One], 줄리아
크리스테바- [About Chinese Women]
현실세계와 동떨어진 이론적경향, 이론의
불명료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요한 영향들
A. 포스트모던 페미니즘과 실존적 페미니즘
B. 포스트모던 페미니즘과 해체주의
2.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세가지 관점
A. 엘렌 씩수스
B. 루스 이리가레이
C. 줄리아 크리스테바
3.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비판
4. 결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루스 이리가레이, 엘렌 식수스, 크리스테바등은 프로이트와 라캉을 딛고 비판과 재해석을 하면서 여성이론을 모색한다.
6) 성의 문제에서 많은 현상들을 다르게 해석되는 여지를 남겼다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가설에 불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루스 이리가레이
-남성적인 철학적 사고로부터 여성적인 것을 해방시키는 것
-우리가 알고 있는 유일한 여성은 남성이 생각하는 여성, 즉 “남성적 여성성” 팰러스적 여성성이다 (가부장적 사고의 구조들 안에서 “여성적 여성성”을 생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