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조(high tide) 시기에는 바닷물이 밀려들어 해수면이 높아지며 간조(low tide) 시기에는 바닷물이 빠져나가 해수면이 낮아진다. 이때 만조와 간조에서의 해수면 높이 차이를 조수간만의 차이(the difference between the tides)라고 하며 이를 줄여 조차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22.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비율은 언제, 어디서나 일정하다. 이를 염분비 일정의
법칙이라고 한다. 또한 표층 염분의 변화는
증발량과 강수량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
는다. 보통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다면 염
분이 증가할 것이며 반대로 강수량이 증발량
보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22.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를 조수간만의 차이라고 하며 흔히 이를 줄여 조차라고 부른다.
만조와 간조는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반복되는데 만조에서 만조까지, 혹은 간조에서 간조까지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조석주기(tidal period)라고 한다. 만약, 달이 지구 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22.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조(high tide)라고 하며 썰물로 해수면이 가장 낮아졌을 때를 간조(low tide)라고 한다. 또한 만조와 간조 때의 해수면 높이 차이를 조차(the difference between the tides)라고 하며 만조에서 만조까지 혹은 간조에서 간조까지의 시간을 조석주기
(tidal per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2.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염분비라고 한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 : 해수에 용해되어 있는 성분들 사이에는 일정한 비율이 존재하며, 그 비율은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한 성분만 알면 나머지의 비율을 알 수 있다.
크누센의 실험식 : 염분(‰) = 1.8065 × Cl-(‰) ( ∵염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