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드에 대한 모드형상함수(mode shape function)을 도출할 수 있다. 각 모드(1,2,3차 모드)에 대한 모드 형상 함수 (χ)를 유도해보고 결과를 plot 해보시오(MATLAB, Mathmatica, C++등 자신이 활용 가능한 tool을 이용)
다. 실험을 통해 확인한 진동모드와 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27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Mode shapes and natural frequencies of Beam ………… < 10 >
2-4. 모드 형상 (Mode shapes) 구현 …………………………… < 15 >
Ⅱ. 본 론
3. 실험장치 구성 …………………………… < 17 >
3-1. 함수발생기 (function generator)
3-2. 증폭기 (a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수발생기로 발생시켜 steel 보가 고유진동수에서 진동하는 Mode shape(모드 형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 이론값 : [rad/s] [Hz]
- b = 15cm = 0.15m , h = 1mm = 0.001m
- 상수값 = 1.8751(첫 번째), 4,6941(두 번째), 7.8548(세 번째)
- Young’s modulus (E) for steel = 200* (N/)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수이므로 전파 속도와는 비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실험은 모니터의 내부 두께를 일정거리마다 측정하여 내부 형상을 가늠해보았다. 모니터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올수록 파동은 짧아져 모니터의 두께가 짧아지고 있음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드 : 5.27Hz
2차 진동모드 : 35.21Hz
3차 진동모드 : 105.82Hz
1.2 계산값
실험에 필요한 물성치
E(탄성계수) : E=215GPa
(밀 도) : =7690kg/
b[m](너비) : 2.365cm
h[m](높이) : 0.65mm
L[m](길이) : 30.835cm
I[](2차모멘트) :
A[](단면적) :
이론값(Hz)
실제값(Hz)
오차율(%)
5.84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